|  | | ⓒ 고성신문 | |
위험시설물만 고스란히 설치
고성군·고성군의회 강건너 불보듯
고성지역에 LNG가 공급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으나 고성과 고성군의회에서는 대책을 세우지 않고 있다.
군민들은 인근 통영 안정 LNG기지가 조성되고 있는데도 고성지역에 LNG 공급 계획을 위한 한국가스공사 측과 협의는 별다른 진척을 보지 못하고 있다며 행정력의 부재를 지적하고 있다.
더구나 고성군은 한국가스공사 통영안정 인수기지와 바로 인접해 주 배관이 그물망처럼 거류면 당동, 마암, 회화면을 지나게 된다.
여기에다 광양만에서 연결되는 LNG관 주 배관이 영오와 마암, 개천 등을 지나 인근 마산, 김해까지 공급되고 있다.
LNG 주 배관의 V/S시설도 군내 곳곳에 설치돼 위험을 안고 있다.
현재 경남도내에는 (주)경남에너지 (주)경동도시가스(주) GSE 3사에서 총 877,633가구 중 417,316가구에 가스를 공급하고 있다.
이는 경남 도내 가스보급률이 47.6%를 차지 하고 있으며 전국 16개 시도 중 10번째로 저조한 실정이다. 특히 도내 군부에는 함안군에 도시가스가 공급되고 있다.
이에 고성군민들은 인근 통영·거제·마산·진주·사천시에는 값싼 LNG를 공급하면서 정작 혜택을 받아야 할 고성은 제외시키는 것은 형평성에 맞지 않는다며 반발하고 있다.
특히 거류면 당동 일대외 고성읍, 회화면이 인구가 늘고 고성조선특구유치를 앞두고 있어 LNG 공급은 시급하다.
이로 인해 고성지역 주민들은 값비싼 일반 가정용 LPG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해 한국가스공사측은 현재 고성지역의 가스사용가구수 등을 계산해 시설을 설치할 경우 막대한 투자손실이 나기 때문에 수지타산이 맞지 않는다며 난색을 표하고 있다.
이모씨(거류면) “고성읍과 거류 배둔에는 도시가스가 공급돼야 한다며 가스관로가 매설되기 전에 군과 의회에서 먼저 나서 문제를 풀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주민들은 군민들의 요구가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집단행동도 불사해야 한다며 강경한 대응을 요구하고 있다. 한편 최근 경남도의회 정종수(고성 제1선거구) 의원이 도정질의를 통해 고성군에 통영안정 도시가스가 공급될 수 있도록 경남도 차원에서 해결책을 강구할 것을 요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