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고성신문지면평가위원회가 지난 21일 제10차 지면평가회의를 하고 있다. |
ⓒ 고성신문 |
|
민원이 이어지는 양돈산업과 관련해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송학동 고분군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상황에서 고성군의 담당인력은 3명에 불과해 충원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고성군지면평가위원회(위원장 박태공)는 지난 21일 고성신문 회의실에서 제10차 지면평가회의를 개최하고 이같이 논의했다.
박태공 위원장은 11월 17일 보도된 ‘지역 발전 저해하는 경사도 제한 완화해야’ 기사에 대해 “지방 조례가 상위법을 위배할 수 없다. 규제 등은 정말 고민해야 한다”라면서 “지역발전에 저해되고 균형개발에 문제가 된다면 우리가 개발할 수 있는 부분은 개발해야 하는데 조례 제정 시 주민들의 생계나 지역주민들의 개인적인 재산을 추락시키고 가치를 저해하게 된다면 신중을 기해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안태완 위원은 “스마트축산 ICT 관련 기사가 보도됐다. 양돈은 어느 지역을 가든 항상 주민 민원이 많다. 철저히 잘 다듬어 다시는 민원이 없도록 해야 한다”라면서 “이뿐 아니라 마암면 쪽도 뭔가 들어온다고 반대하고 있고 다른 지역도 말은 없지만 문제가 많다. 이번 기회에 군에서 양돈에 대해 어떻게 할지 특단의 조치를 해주는 것이 좋겠다”라고 말했다.
이용재 위원은 “11월 17일자 신문을 보면 스포츠빌리지에 107억 원의 예산을 들이면서 유소년 선수 가족을 전입시킨다고 하는데 실효성이 있을까 하는 의문이 있다”라면서 “지방소멸대응기금으로 60억 원을 확보했다는데 이 돈을 다른 쪽으로 좋은 아이템을 진행하는 것이 좋겠다고 생각한다. 고성도 월평리 등에 임대주택을 짓는다면 통영인구를 끌어들일 수 있다”라고 제안했다.
김근수 위원은 “지면의 제일 위에 보면 지면 안내가 있는데 이 분류에서 벗어나는 경우가 있어 아쉽다. 잘 분류한다면 독자들이 찾기도 쉬울 것”이라고 말하고 “제목들도 다시 한 번 검토해 독자들이 잘 알 수 있고 일목요연하게 찾기 쉽도록 편집하는 방법도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김두경 위원은 “유네스코와 관련해 함안에서 개최된 포럼에 참석했는데 등재 이후 예산 확보를 위해 경남 5개 지역에서 TF팀을 꾸리는 등 분주한 분위기였다”라면서 “결국 예산을 얼마나 가져오느냐가 문제인데 그러려면 전문성 있는 인력 확보가 필요하다. 그러나 고성군은 담당이 3명에 불과한 반면 함안은 20명이다. 고성군에서는 어떤 노력을 어떻게 하는지 챙겨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곽종수 위원은 “17일자 기자수첩을 보면 내용만 봐도 아쉬운 부분이 많다. 시식을 하고 안 하고의 문제가 아니다. 행사 참석 시 보면 군민을 모시는 모습들이 아니다”라면서 “군수니까 예우를 해야 하는 것도 맞지만 이건 예우를 넘어 권위적인 모습만 보인다. 선거철에만 고개 숙이는 모습만 이어지고 있다. 앞으로도 이런 부분이 시정되지 않으면 안 된다. 언론만이 이런 이야기를 할 수 있다. 정론직필이 필요하다”라고 꼬집었다.
김충효 위원은 “전통시장 활성화 관련 고성군의회가 활동하고 있는 기사가 게재됐는데 전통시장과 길가 업체들이 함께 살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도 언론이 해야 할 역할이라고 본다”라면서 “전통시장 활성화사업으로 시장 내 업체들은 특혜를 받을 수 있는데 그 외 업체들은 단속만 받는 상황이다. 시장 밖 업체들의 입장과 개선 필요점 등을 취재해 보도할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
차영란 부위원장은 “공룡엑스포 개최에 대한 명확한 목적이 있어야 한다는 기사가 나왔는데 실제로 필요한 지적”이라면서 “군민스태프로 참가했는데 현장에서 행사 진행순서, 가수 멘트까지 같았다. 관광객들은 새로움이 없다는 불만을 토로했다. 물론 자원봉사자들의 고생도 많았다. 당항포와 가을이라는 계절적 장점을 어떤 방식으로 활용해 새로움을 보여줄 수 있을지 조직위와 행정이 고민해야 한다”라고 지적했다./정리=최민화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