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이 치안센터를 폐지하는 방안을 검토하면서 일부 주민들은 농촌지역 치안 공백이 우려하고 있다. 최근 경찰은 인력 부족으로 상주 인원이 없는 치안센가 늘어나 유휴 건물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전국 952개 치안센터 중 576개를 폐지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이에 지난달 26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종합 국정감사에서 임호선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치안센터를 폐지할 것이 아니라 더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며 경찰 계획에 대해 우려를 나타냈다.
그 자리에서 윤희근 경찰청장은 치안센터 폐지에 대해서는 다시 논의할 것이라고 밝히며 현재 폐지계획은 보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가운데 고성의 치안센터 7곳 중 6곳도 경찰의 폐지계획 대상에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고성경찰서에 따르면 고성에는 대가, 삼산, 마암, 구만, 하일, 개천, 영현 등 총 7곳의 치안센터가 있으며, 이 중 대가치안센터를 제외한 나머지 6곳이 폐지 대상에 포함됐다고 밝혔다.
이에 일각에서는 만약 치안센터가 폐지되면 농촌지역의 치안에 공백이 생길 수도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영현면 한 주민은 “치안센터에 인원이 상주하지 않더라도 치안센터 자체만으로도 범죄예방에 많은 도움이 되고 있는데 그걸 없앤다고 하면 주민들은 불안해 할 수밖에 없지 않냐?”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고성경찰서 관계자는 “현재 고성지역의 치안센터의 경우 인원이 상주하지 않고 지구대와 파출소에서 주기적으로 해당 지역을 순찰할 시 거점지역으로 활용하고 있다”라며 “폐지되는 치안센터는 112신고 건수와 파출소와의 거리 등 다방면으로 검토해 대상을 선정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현재 치안센터의 역할이 크지 않기 때문에 폐지가 되더라도 크게 치안 공백은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며 “치안센터 폐지계획은 현재 보류 중인 것으로 알고 있으며, 폐지 유부를 떠나 군민들은 치안 공백에 대해 크게 걱정하지 않아 도 될 것”이라고 밝혔다./황영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