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고성신문 |
|
가을은 각종 스트레스로 두통에 시달리는 사람이 많다. 이것은 몸 속 기운이 건강하지 못해 머리로 향하는 통로가 막혀서 일어나는 증상이다. 특히 기름진 음식으로 인한 열기는 인체 기운을 약하게 하여 머리끝까지 순환을 시키지 못한다. 스트레스 원인 중 하나다.
양생에서 “추분자 음양상반야(秋分者 陰陽相半也) 고주야균이한서평(故晝夜均而寒署平)”라고 한다. 말하자면 추분 시절은 음과 양은 반반이고 낮과 밤의 길이도 반반이며 추위와 더위도 반반이다.
추분 이후부터 밤이 길어지므로 빠르게 천지에 음기가 자라나기 시작한다. 이것을 “일장추우일장한(一場秋雨一場寒), 백로추분야 일야냉일야(夜白露秋分夜 一夜冷一夜)”라고 했다. “가을비는 한 번 오면 한 번 추위가 오고 추분 절기에는 하루하루 점점 더 서늘해진다”는 말이다.
사람의 마음에는 어떨까?
‘추풍추우수살인(秋風秋雨愁煞人)’이라고 한다. “가을바람과 가을비는 사람을 우수에 푹 잠기게 해 준다”고 한다. 그래서 정신의 건강을 위해 고대부터 많은 문화 활동과 등산 등이 이 시기에 일어났다. 추분부터 인체는 ‘추조증상(秋燥症狀 인체에 나타나는 건조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추분 전에는 여름에 남은 기운으로 인하여 ‘온조증(燥症-열기로 인해 양기가 왕성하여 진액이나 피가 마르는 증상)’이 나타나지만 추분 이후에는 본격적인 가을바람이 내습하여 기온의 변화가 심해지고 기온이 점점 차가워진다.
냉한기운으로 ‘양조증(凉燥症-서늘한 바람이 인체 침입으로 인해 입술과 목구멍이 진액이 부족하여 마르는 증상)’이 나타난다.
추조증(秋燥症)은 우리가 보통 가을 탄다고 말한다. 추조증(秋燥症)은 면역력이 약한 사람에게 많이 나타난다. 인체의 보온기능과 산열(散热 열을 발산한다)기능이 천기와 기후의 변화에 순응하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일종의 생리반응이다. 추조증(秋燥症)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건강한 밥상이 필요하다.
재료는 칼슘, 철, 인이 풍부한 백합(百合), 습열(濕熱)과 위를 보호하는 대추, 중국 광서 지방의 백세 노인들이 매일 먹는다고 하는 고구마, 변비를 예방하고 피부를 좋게 하는 구기자 등을 밥상에 첨가하여 면역력을 높여야 한다.
# 스트레스 해소 차(茶)
효능 : 청열보기(淸熱補氣)한다. 기름진 음식으로 인하여 몸속에 열이 많이 생겨서 오는 두통과 스트레스를 해소하여 주며 위염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
재료 : 황정 12g, 국화 3g, 구기자 3g
만드는 법
1. 구기자와 황정을 각각 끓는 물에 데쳐서 준비한다.
2. 돌솥에 황정을 30분 끓인 후 구기자를 넣고 5분 끓인다.
3. 2에 국화를 넣고 불을 끄고 1분 기다린다.
4. 재료를 건져내고 냉장고에 넣어 수시로 마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