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고성군청년의회가 지난 12일 정책위원회를 개최하고 청년정책에 대해 논의했다. |
ⓒ 고성신문 |
|
고성군이 시행 중인 청년일자리사업에 대해 기존 청년들의 고용 유지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취업 청년 생활지원사업의 기준을 완화하고, 청년센터 프로그램 일부를 퇴근시간 이나 주말에 추가 개설해달라는 의견도 나왔다.고성군청년의회(의장 김대웅)는 지난 12일 고성군의회 회의실에서 ‘청년이 말하고, 청년이 그리다’라는 주제로 회의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는 고성군의회 의원과 고성군 실무담당자들도 참석해 지난 6월 개최된 청년민회를 거쳐 상정된 2024년 청년정책 안건 15건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황성호 위원은 “고성은 인구소멸 위기라 청년 전문인력이 부족한 상황에서 고용이 힘든 데다 다이노스타 등의 사업으로 일부 고용혜택이 있었으나 단발성에 그쳤다”면서 “기존 고용된 청년들을 유지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유빈 위원은 고성 취업 청년 생활지원사업에 대해 “현행 사업 기준은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업체에 3개월 이상 근무하며 중위소득 150% 이하 청년을 기준으로 하는데 범위를 넓혀 복지기관 등을 포함한 군내 사업장 내 3개월 이상 근무 청년으로 완화하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김채경 위원은 “청년센터에서 운영 중인 프로그램 중 인기프로그램은 더 많은 청년이 참여할 수 있도록 퇴근 이후 시간이나 주말에 확대운영하고 필요 시 설문조사 등을 통해 시간대를 조절하는 방안도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상민 위원은 “청년 이사비용 지원사업 관련 전입신고 시 미리 신청하고 이후 증빙하는 방식도 고려해야 하며 청년 외에도 전입군민 전체에 확대한다면 인구증가에 도움을 줄 수 있다”라고 말했다.
이 외에도 장롱면허 탈출기 사업 중 차량 소유 여부에 대한 기준을 철회해 대상을 늘리는 방안, 청년참여 포인트제도의 구체적인 지급 기준 마련 등에 대한 의견이 나왔다. 이 자리에서 논의 및 수정, 가결된 안건들은 연말 최종 예산확보 후 2024년 고성군 청년정책으로 확정 추진된다.
김대웅 청년의회 의장은 “처음으로 청년들끼리 회의를 통해 정책을 결정하는 뜻깊은 자리”라면서 “시작하는 단계라 다소 부족함이 있겠지만, 청년들이 직접 정책에 대한 의견을 모으고 청년들의 목소리를 담아 고성의 미래를 직접 그려가는 발판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최을석 의장은 “앞으로 고성군을 이끌어 갈 주역들인 청년들을 위한 정책사업 추진에 많은 힘을 보태겠다”라면서 “청년들이 머무르고 꿈을 펼칠 수 있는 고성을 만들기 위해 우리 고성군의회도 함께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김향숙 부의장은 “청년들이 정책에 직접 참여하는 것은 무적 고무적이고 발전적인 일”이라면서 “청년친화도시로 인증받은 고성군의 명성에 걸맞도록 정책을 검토해 지원할 테니 청년들의 더 많은 참여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최민화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