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고성신문 |
|
가을이지만 여름의 더운 기운이 아직 남아 있는 ‘추노호(秋老虎)’의 시기다.
청나라 시대 1년 12달 생활상을 기록한 ‘청가록(淸嘉錄)’이 있다. 청가록에서 추노호(秋老虎)를 이렇게 묘사했다. “처서18분 위목욕 18일야(處暑十八盆, 謂沐浴十八日也)”라고 했다. 이것은 처서 이후 대략 18일 정도는 땀을 흘리는 날들이 경험해야 한다는 뜻이다.
또 ‘여불위’가 쓴 ‘여씨춘추(呂氏春秋)’에서는 “천지시소불가이응(天地始蕭不可以贏)”라는 말이 있다. 직역하면 천지가 엄숙해지기 시작하므로 이길 수 없다. 즉 사람들에게 가을은 교만하거나 자만하는 시기가 아니라 신중하며 조심해야 하는 시기라는 것을 일깨워 주는 말이다.
이것은 음식에도 비견된다. 즉 수렴(收斂)하는 성질의 식재를 선택하여 먹어야 천지와 상응을 한다. 가을은 건조한 기운으로 이루어진다. 인체도 폐(肺)가 조금(燥金 음양오행에서 건조한 기운)이어서 이 기운이 가을과 상응한다.
가을은 하늘은 높고 바람이 시원하게 분다. 공기도 청신(淸新)하여 폐가 담당인 기와 호흡 기능에 좋다. 그러나 추분(秋分) 이후는 건조한 기운이 심해진다. 바람과 합세를 하여 ‘풍사(風邪․질병을 일으키는 나쁜 바람)’를 만든다.
이 ‘풍사(風邪)’는 먼저 폐(肺)랑 연결된 인체 표면의 털과 코로 침입해온다. 폐(肺)의 발산기능이 정상이면 빨리 대응을 할 수 있다. 첫째 인체의 면역력인 위기(衛氣)를 피부, 코로 보내어 피부, 털이 촉촉하게 한다. 둘째 피부를 조밀하게 하여 코가 잘 통하게 한다. 셋째 가을의 건조한 기운이 아무리 기세를 부려도 사람들로 하여금 순리적으로 가을을 넘기게 한다.
그러나 폐(肺) 자체가 기를 다스리는 기능과 발산기능이 떨어지면 첫째 인체가 저항할 수 있는 능력을 쉬 넘어버린다. 둘째 건조한 기운이 그렇게 세지 않아도 가을의 기후변화에 적응을 할 수 없다. 셋째 외부의 ‘사기(邪氣)’에 대한 방어를 할 힘이 없어진다. 그러므로 폐(肺)가 주관하는 털과 코와 폐 안으로 ‘사기(邪氣)’가 공격해 들어온다. 가을에 각종 질병이 발생하는 원인이 된다. 이런 것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아침에 폐(肺)의 촉촉한 진액을 만들어 주는 죽이 좋다.
# 다이어트에 좋은 율무죽 효능 : 강기평천(降氣平喘)한다. 가을철 소화기관을 튼튼하게 만들어 담을 없애주며 면역력을 길러 기침을 예방하고 나쁜 습기를 배출하여 다이어트에 도움이 된다. 재료 : 율무 60g, 행인 20g, 쌀 100g
만드는 법 1. 율무를 하루저녁 불려 손질하여 준비한다. 2. 행인을 끓는 물에 데쳐 믹서기에 간다. 3. 솥에 재료를 넣고 40분간 끓여서 완성한다.
조리Tip 임산부는 삼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