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고성신문 |
|
고성 동외동패총을 국가사적으로 지정하기 위해 우선 주민동의와 토지매입 등의 과정이 추진된다. 고성군은 지난 25일 종합사회복지관에서 고성 동외동패총 국가 | | 적 지정을 위한 주민설명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는 패총 주변 토지소유주 등 군민 10여 명이 참석해 유적과 출토유물의 가치, 국가사적 지정의 중요성 등에 대해 설명을 들었다. 이번 설명회에서는 1995년 새무늬청동기가 발견됐던 발굴조사 후 26년 만인 2021년 군비 2억5천만 원을 확보해 진행한 첫 발굴조사와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진행한 발굴현장 군민공개회, 학술대회 등에서 제시된 정보를 삼강문화재연구소 소배경 조사부장이 주민들에게 전달했다. 이날 설명회에서 고성군 문화관광과는 고성 동외동패총 유적의 분포범위를 확인하기 위해 유적 외곽에 시범적으로 굴착하는 조사를 실시, 지정구역 31필지 1만678㎡ 확대를 위해 주민들의 동의를 구했다.
소배경 부장은 지정문화재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역 내 건축행위 등에 관한 허용기준에 대해 설명하고 동외동패총 주변지역의 구역별 기준을 상세하게 설명했다. 소배경 부장은 “보호구역 내 반경 100m 안에서는 건축행위가 제한돼 사유재산이 침해되는 상황이 발생한다”면서 “이 때문에 국가사적으로서 가치가 있다면 사적으로 지정해 사유재산을 국가에서 매입하고 있으며 감정평가사가 직접 방문해 시세보다 다소 높은 가격에 보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소 부장은 “주민들이 반대할 경우 사적으로 지정할 수 없다”면서 “동외동패총은 발굴된 유구와 유물 등이 당대의 역사를 연구할 수 있는 학술적 문화적 가치가 높아 주민들이 동의해준다면 사적으로 지정될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군은 경남기념물 제26호로 지정돼있는 고성 동외동 패총 주변지역에도 유적 및 유물이 발굴될 것으로 보고, 해당 지역을 매입해 국가사적으로 지정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고성 동외동패총은 1914년 일본 도쿄제국대학의 인류학자인 도리이 류조가 사료조사 중 골각기와 각종 토기 조각들을 수습하면서 발견됐다. 1969년과 1970년 국립중앙박물관의 발굴조사에 이어 1974년 동아대학교박물관에서도 소규모 발굴조사를 실시한 바 있다. 1974년 경남도 기념물로 지정된 후 1995년 국립진주박물관이 동외동패총의 중앙부와 남·서쪽 사면을 조사한 결과 제사나 의식 등에 사용한 것으로 보이는 새무늬청동기가 발견돼 생활유적의 가치가 높아졌다. 이후 2021년 26년만에 진행된 3차례의 발굴조사를 통해 대지조성층, 유구, 주혈, 청동제 칼집장식 부속구와 고대 수레의 일산 살대 끝을 장식한 개궁모는 물론 전국에서 제주와 고성 두 곳에서만 발견된 중국 한나라의 대천오십 화폐 등 대외 교류를 알 수 있는 유물들이 출토돼 국가사적 승격을 위한 당위성이 높게 평가됐다. 소배경 조사부장은 “동외동유적에서 확인되는 대외교류와 제철의 흔적 등은 소가야 발전의 원동력이었을 것으로 보인다”면서 “향후 국가사적으로 승급을 추진, 기획조사를 통해 추가발굴을 진행하고 항구나 왕성을 찾는 작업도 병행한다면 소가야의 역사적 가치를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김경숙 문화환경국장은 “민선 8기와 함께 군민의 품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문화재 지정구역 확대 승인과 함께 2024년 6월까지는 반드시 국가사적으로 지정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