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고성신문 |
|
고성군이 현재 논란이 되고 있는 데이터센터 유치를 계획하고 있다. 고성군은 미래 성장동력인 데이터터를 유치해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고성군은 지난 26일 고성군의회 7월 첫 번째 의원월례회에서 고성군 데이터센터 유치계획에 대해 보고했다. 추진배경으로는 지난 3월 국무총리 주재 ‘현안 관계장관회의’ 데이트센터 지방분산 협의가 있었으며 인공지능 AI 등 수요 급증에 따른 국내 데이터센터 증가 추세에 있다고 밝혔다. 국내에는 지난 7년간 2016년 149개에서 2023년 205개로 약 40% 증가 추세에 있다.
고성군이 밝힌 대상지는 고성군 거류면 은월리, 하이면 덕호리 등 2개소이며 사업기간은 2024년부터 2026년까지 3년간이다. 사업추진 과정에서 대상지 및 사업내용 변경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추진상황으로는 지난 3월 데이터센터 유치 건의서를 고성군이 경상남도에 제출했고 6월 한전 경남본부에서 데이터센터 유치 및 전력계통사항 등 실무관계자 회의를 가졌다. 7월에는 수도권 데이터센터 투자유치 합동설명회를 발표했다.
군은 문제점으로 수도권과의 거리가 멀어 데이터센터 비상 상황 발생 시 전문 엔지니어의 신속한 도착이 곤란하다고 보고 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는 남북내륙고속철도가 2028년 완공되면 서울에서 2시간 이내 도착 가능하다고 했다. 고성군은 고성군의회에 대상지 기반시설 설치 및 산업단지 지정에 따른 예산지원 등을 요청했다. 김원순 의원은 데이터센터 유치에 대해 “고성군 인구 유입이나 일자리 창출에 도움이 되는 것인가” 물으며 “고도화된 전산 시스템으로 전문인력만 필요해 인구 유입과 군민 일자리는 미비할 것으로 알고 있다. 다른 데이터센터 사례를 통해 어떤 효과가 있는지 명확히 분석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영환 의원 또한 “데이터센터가 유치된다면 해당 지역 주민들에게 충분한 설명과 협의를 거치고 주민에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진행하라”고 주문했다.
데이터센터는 현재 경기도 지역에 우후죽순 들어서고 있고 지역 주민들의 반대 여론이 끊이지 않고 있다. 저장해야 할 데이터가 점차 늘어가면서 데이터센터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지만, 시민들은 초고압선으로 인한 전자파 노출을 우려하고 있다. 게다가 지역 경제에 미치는 효과도 미미하다는 것이 수도권 주민들이 반발하는 이유다. 아울러 또한 데이터센터 가동 시 소음·진동·분진·냉각수 피해도 문제로 지목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