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고성신문 |
|
허동원 도의원은 지난 11일 제406회 경남도의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을 통해 경남도에 적진포 해전을 재조명하고, 이를 성역화해 관광 자원화하 정책을 마련해줄 것을 촉구했다.
허 의원은 임진왜란 당시 우리 민족을 구한 성웅 이순신 장군의 여러 승전지가 있지만, 적진포 해전은 잘 알려지지 않았다는 점에 안타까움을 표했다.
그는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이순신 장군은 1592년 5월 4일(음력) 1차 출정에 나서 옥포, 합포, 적진포 세 곳에서 큰 승리를 거둔 바 있다”며 “이 중 적진포는 무려 일본 대선 9척과 중선 2척을 격파하고 왜병 2천840여 명을 전사시킨 대승을 거둔 곳이다. 그런데도 주목받지 못한 점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적진포가 잊혀지고 잃어버린 승전지가 된 가장 큰 이유는 정확한 위치에 대한 논란이 있었기 때문”이라며 “이순신 장군의 난중일기에도 고성 적진포에서 전쟁을 치렀다는 기록이 있고, 조선시대 고서와 고지도에도 고성군 거류면 화당리 지역을 정확히 표시하고 있는 만큼 이제는 위치에 대한 논란을 불식시키고 이를 재조명하는 데 온 힘을 쏟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허 의원은 지난 3월 경남도가 발표한 ‘이순신 장군 승전지 순례길’ 프로젝트에 대해 아쉬움을 표했다. 그는 “현재 여러 승진지 중 이미 잘 알려진 당항포, 옥포 등을 중심으로 순례길이 구간별로 6개소 총 144㎞로 계획되어 있지만 상대적으로 알려지지 않은 적진포 지역 등은 빠져 길이 연결되지 않아 곳곳이 단절돼 있다”고 밝혔다.
이에 허 의원은 경남도가 적진포를 포함해 남해안 이순신 장군의 승전지와 숙영지 등을 찾아 새롭게 조명하고 이를 기초로 승전지 연결 프로젝트 진행을 제안했다.
그는 현행 순례길이 연결되지 않아 곳곳이 단절되면서 하나의 콘텐츠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는 점이 앞으로 보완되어야 ‘이순신 장군 승전지 순례길’ 프로젝트가 남해안 관광 시대 랜드마크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허동원 의원은 “우리가 잊거나 잃어버린 승전지 뿐만 아니라 ‘고성의 월이 이야기’ 같이 구전으로 전해지는 이야기도 함께 발굴해 순례길 콘텐츠로 연결해야 한다”면서 “이순신 장군의 소중한 1승 적진포 해전을 기리고 성역화 해줄 것”을 경남도에 요청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