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교육사령부 고성유치 가능하다
땅값이 관건, 지나친 투기자제, 유치위 빨리 구성해야
/하현갑편집국장 기자 / 입력 : 2005년 01월 13일
|  | | ⓒ 고성신문 | | 진해 해군교육사령부 고성유치움직임이 가시화되고 있다.
본지 1월 6일자(286호) 보도이후 도내 일간지 등지에서 일제히 해군교육사령부 고성유치기사를 1 톱기사를 다루는 등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여기에 고성지역주민들도 해군교육사령부를 고성에 유치, 적극 동참할 뜻을 보여 급물살을 탈 것으로 예상된다.
■해군교육사령부유치와 지역경기활성화기대
해군교육사령부는 지난 1956년 진해시 여좌, 경화, 앵곡, 자운동에 50만평 규모로 창설됐다.
1987년 7월 1일 해군훈련교육 발전과 제반사항을 관장하는 해군교육사령부로 증편돼 오늘에 이르고 있다.
교육사령부에는 기초군사학교, 전투병과학교, 정보통신학교, 기술병과학교, 행정학교 등이 있다.
그러나 진해시가 시설이 노후하고 세계적인 군항도 전환되고 도시공동화현상이 초래돼 이전키로 결정됐다.
해군교육사령부는 오는 2007년까지 3천억원을 들여 100만평규모로 새교육사령부를 이전할 예정이다.
이 해군교육사령부는 장교 200여명, 군무원 100여명, 하사관 700여명 그외가족 등 3천여명이 상주하게 된다.연간교육생만해도 1만5청여명에 연간 유동인구 7만여명 에 달해 지역경기가 크게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따라서 고성에 해군교육사령부가 유치되면 1만5천여명의 인구가 늘어나게 된다.
인구증가는 물론 교육여건이 향상되는 등 엄청난 부가가치효과를 거둘 것으로 보인다.
■8개 지자체 유치경쟁 뛰어 들어
현재 강원도 동해시, 전북 군산시, 전남 해남, 영암군, 충남 서산, 경기도 평택시 등 지방자치단체가 해군교육사령부 유치를 위해 각축전을 벌이고 있다.
이들 지자체들은 유치위원회와 테스크포스팀을 구성, 유치에 본격 뛰어 들고 있다.
강원도 동해시의 경우 벌써부터 후보지를 선정하고 8천여만원의 예산을 들여’ 해군교육사령부 강원도유치범도민’ 현수아치가지 만들어 설치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전남 영안군도 청와대와 국방부에 유치의사를 담은 건의문을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영암군은 또 1천가구규모의 아파단지 부지를 해군측에 제공한다는 인센티브로 제시하고 있다.
■교육용 함대 정박가능해야 한다.
교육사령부가 들어서면 함대형급 대형 전함이 정박해야 한다.
일단 수심이 깊어야 정박이 가능하다.
고성으로서는 남포항에 교육용 함대가 정박하는 것이 가장 좋은 조건이나 수심이 낮아 불가능하다. 그외 삼산, 하일, 하이, 동해 등은 이러한 조건이 가능하다.
■해군교육사령부 고성유치 가능하나?
일단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해군교육사령부가 진해에서 고성으로 이전할 경우 지역이질감없이 해군관계자와 가족등이 자연스럽게 적응할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기후또한 진해와 비슷해 사계절 교육이 가능한 이점도 지니고 있다.
또 당항포에 이충무공전승지와 인근 통영에 한산도 등 이충무공의 얼이 서려 있어 현장 교육장으로 활용할수 있다.
대전~통영간 고속도로가 개통되고 마산~고성간고속도화도로개설등 교통여건또한 좋아 다른 지방자치단체보다 유리한 조건을 갖고 있다.
■관건은 땅값이다.
해군교육사령부가 어느 지방자치단체에 결정돼느냐는 현재 땅값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해군교육사령부 관계자들도 최근 고성을 둘러보고 가후 땅값이 지나치게 비싸면 이전조건이 맞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고성군도 범군민유치위원회를 빨리 구성, 예비후보지를 선정, 유치가 적극 나서야 한다는 여론이 확산되고 있다.
또한 주민들은 지나친 땅투기를 자제해 해군교육사령부를 반드시 유치하자는 의지를 모아야 할 것이다.
고성의미래가 걸렸다는 각오로 해군교육사령부유치에 군민모두 나서야 할때이다. |
/하현갑편집국장 기자 /  입력 : 2005년 01월 13일
- Copyrights ⓒ고성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가장 많이 본 뉴스
만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