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지난달 29일 군청에서 고성군과 LH 무인기종합타운 조성사업 실무자들이 모여 향후 사업추진 계획 등을 논의하고 있다. |
ⓒ 고성신문 |
|
고성의 새로운 먹거리인 무인기종합타운 조성사업이 민간 사업자인 LH의 늑장으로 인해 착공이 늦어질 것으로 보인다.
군은 동해면 내곡리 일원 37만1천983㎡에 국비 151억5천만 원과 군비 110억 원, 민자(LH) 650억 원 등 총 911억5천만 원을 들여 무인기종합타운 조성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무인기종합타운은 2018년 8월 공모사업으로 선정돼 2022년까지 농림부 농업진흥구역 해제 농지 분야 협의를 완료했고 지난해 9월 투자선도지구로 최종 지정됐다.
이후 군은 실시설계 승인, 보상 절차를 거쳐 착공에 들어가 2026년까지 사업을 완료할 계획을 세웠다. 하지만 계획과는 달리 LH에서 적극적으로 사업추진 의지를 보이지 않자 군은 사업 조기 추진을 위해 지난달 29일 군청에서 LH 관계자와 실무협의회를 열었다.
이날 사업대상지 전체 토지 감정평가는 LH가 한다는 협약서의 내용을 조정하는 방안 등을 논의했다. 군은 LH의 늑장이 이어지면서 고성군의 사업만이라도 빨리 추진하기 위해 군이 시행하는 사업부지 감정평가는 고성군이 하는 것으로 협약 내용을 변경하고자 했다.
그러나 이날 실무협의회에서는 협약서 내용을 조정하는 방안에 대해 결론내지 않았다.
군 관계자는 “군에서는 하루라도 빨리 사업추진을 위해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려 하고 있지만, 민간 사업자인 LH에서는 고성군의 무인기종합타운 외에도 다른 지역에서도 많은 사업을 하다 보니 현재로서는 조속한 사업추진에 대한 의지가 없어 보인다”고 밝혔다.
또한 “군에서 추진하는 사업이라도 먼저 진행하려고 협약서 내용 조정을 위해 실무협의회를 열었지만 이마저도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향후 다시 실무협의회를 가질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LH 관계자는 “실시설계승인 과정에서 사업이 늦어지고 있다”면서“고성군과는 실무협의회를 통해 계속해서 사업추진에 대해 논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이 관계자는 토지 감정평가와 보상 등의 사업 추진 시기와 사업예산 문제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다. 이대로라면 군에서 당초 계획한 올해 보상과 착공은 물론 2026년 사업완공 목표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기간이 얼마나 더 지연될지도 모르는 상황이다.
무인기종합타운 조성사업은 고성군이 새로운 먹거리로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 등의 효과를 거둘 것으로 군민들의 기대를 모으고 있다. 하지만 사업을 추진하는 LH의 지지부진한 사업 진행이 걸림돌이 되고 있어 조속한 사업추진을 위해 행정력뿐만 아니라 정치력 등 여러 방면에서 해결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여론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