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지난 14일 당동어촌계회관에서 열린 8차 지역협의체 회의에서 백수명 경남도의원이 절충안을 제시하고 있다. |
ⓒ 고성신문 |
|
|
 |
|
ⓒ 고성신문 |
|
주민들과 용역사 간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해 사업이 지연됐던 당동항 어촌뉴딜사업이 백수명 도의원의 절충안 제시로 합의점을 찾으면서 사업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
당동항 어촌뉴딜 사업은 2020년 어촌뉴딜 300 사업공모에 선정돼 사업비 95억6천800만 원이 투입돼 선착장 정비, 수산물 공동작업장, 당동어촌계회관 리모델링, 달뜨는 해상광장 등 추진되고 있다.
그동안 주민들과 용역사는 지역협의체 회의를 통해 사업 실시설계 세부 계획을 조율해왔지만, 2022년 6월부터 달뜨는 해상광장의 높이 문제로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해 지난해 완료 예정이었던 실시설계가 지연되면서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당초 용역사에서는 해상광장을 파고 높이와 안전성을 고려해 지상보다 2m 높게 설치하는 것으로 설계했지만 주민들은 해상광장이 높아지면 시야를 가린다며 높이를 낮출 것을 요구했다.
이후 용역사는 지난 1월 21일 진행된 7차 회의까지 검토를 통해 최대 1.4m까지 낮춘 설계안을 제시했지만, 어민들은 높이 70㎝까지 요구해 결국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서로 간 합의점을 찾지 못해 사업이 늦어지자 어촌계에서는 경남도의회 농해양수산위원회 부위원장인 백수명 도의원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이어 지난 14일 당동어촌계회관에서 백수명 도의원을 비롯한 경남도 어촌발전과장, 고성군 해양수산과장, 어촌계장, 거류면장, 지역협의체 위원, 주민 등이 참석한 가운데 8차 회의가 진행됐다.
이날 사업의 애로사항을 청취한 백수명 도의원은 해상광장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높이를 낮출 수 없다면 해상광장과 연결된 도로 사면을 50㎝가량 높여 안전성과 시야를 확보하는 절충안을 제시했다.
이에 용역사와 주민들은 백 도의원이 제시한 절충안에 합의하면서 더 늦어질 수 있었던 사업이 속도를 낼 수 있게 됐다. 백수명 도의원은 “어촌뉴딜 사업은 주민들을 위해 예산을 들여 추진하는 사업이다. 그렇다고 사업을 추진하면서 안전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면서 “고민 끝에 주민이 원하는 시야 확보와 안전성도 고려한 절충안을 제시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군은 당초 계획보다 사업이 늦어졌지만, 절충안을 토대로 오는 4월까지 실시설계용역을 완료하고 5월 착공에 들어가 내년까지 사업을 준공한다는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