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군은 버스노선 권역번호 도입 등으로 농어촌버스 운영 개선을 추진한다. 군이 파악한 현 실태로는 기존에 버스 시간표는 공급자 중심으로 작성되어 있어 이용객이 운행시간표를 보고 해당노선을 알기가 매우 힘들었다. 아울러 버스 정보시스템 BIS가 구축되어 있지만 노선과 매칭이 되지 않아 유명유실했다.
또 버스승강장에 노선도를 나타내는 부착물이 없고 요약된 버스시간표를 보고 해당 읍면마다 다른 안내문이 부착되어 있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농어촌버스 운영 개선의 추진목적은 현행 버스 운행시간표는 1~2곳의 경유지만 표기하여 운수업체 중심으로 대중교통 이용자가 노선을 쉽게 이해하기 어렵고 버스노선도 및 운행시간표를 이용자 중심으로 알기 쉽도록 정비하여 버스정보시스템 BIS와 연계를 구축이 필요하다. 아울러 버스 운행대수 18대에서 17대로 감축함에 따른 버스노선 조정 필요성이 대두됐다.
추진개요로는 버스노선 권역번호제가 도입된다. 기존에는 1~2곳의 경유지를 표기하던 것을 노선 권역번호를 부여하는 것으로 변경된다. 첫째 자리 숫자는 상행선 주요 경유지 권역번호이며, 둘째 자리 숫자는 회귀점 권역번호, 셋째 자리 숫자는 하행선 주요 경유지 권역번호이다.
예를 들어 989번 버스노선은 고성여객터미널→거류면 당동(9)→동해면 장좌(8)→거류면 송정(9)→고성여객터미널이다. 버스 권역번호로는 고성읍 도산면(원산, 도산)은 0번, 삼산면 하일면 하이면은 1번, 상리면 2번, 대가면 3번, 영현면 영오면 개천면 금곡면 5번, 구만면 6번, 회화면 마암면 7번, 동해면 8번, 거류면 광도면(안정) 9번이다.
버스 운행노선 안내는 버스정보시스템 IBS 노선 소프트웨어를 조정하고 스마트폰, 홈페이지, 이장회보 등에 홍보를 실시한다. 운행노선 인쇄물은 고성여객터미널, 간이대합실, 배둔시외버스터미널에 부착하고 버스승강장 395개소에 정류장 번호, 정류장명, 운행시간, 운행노선, 도로명주소 등을 표기한다.
버스 운행대수는 기존 대형 12대, 소형 6대 등 18대에서 대형 12대, 소형 5대 등 버스 17대 운행으로 변경된다. 추진경과 및 계획으로 2022년 9월부터 12월가지 버스 운행시간표 작성, 개선의견 청취했다. 2023년 1월에는 버스 노선 조정, 버스정보시스템 BIS를 조정했다. 2월 1일부터 노선 개편을 실시하고 민원사항 등 보완작업을 할 계획이다. 노선 확정 후, 버스노선 인쇄물을 부착한다.
군 관계자는 수요자 중심의 버스 노선 운영으로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 및 서비스 향상을 기대하고 있다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