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2025-08-18 03:26:07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원격
뉴스 > 최만순의 약선요리

기력을 회복하는 만두-122


고성신문 기자 / gosnews@hanmail.net입력 : 2022년 12월 30일
ⓒ 고성신문
한 해를 돌아보는 동지(冬至)시절이다. 밤이 길다. 조선시대 학습도서인 고문진보(古文眞寶 1420)에 “말하지 말라, 오늘 공부하지 않아도 내일이 있다고?”라는 구절이 있다. 한번 흘러간 시간은 다시 돌아오지 않는다는 것을 강조하는 대목이다. 

그리고 양생에선 이 시절 밤에는 온갖 잡귀가 야행을 하므로 해가 있을 때 집으로 들어가서 일찍 수면을 취하라고 했다. 양생의 대표적인 ‘도교’는 ‘노장(老莊)’의 무위자연(無爲自然)사상을 중심으로 불로장생(不老長生)을 추구한다. 여기에 신선술(神仙術), 장생술(長生術), 연단술(鍊丹術), 방중술(房中術)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요소들은 현실에서의 행복을 보다 강렬하게 추구하는 성향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 중 제1이 수면(睡眠)이다. ‘손사막(孫思邈)’의 비급천금요방(備急千金要方)에 보면 “선와심 후와안(先臥心 後臥眼)”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먼저 마음을 재운 다음 눈을 재워라는 뜻이다. 즉 숙면을 취하는데 있어서 먼저 마음을 안정시켜야 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잠을 자는 방법으로는 “굴슬측와 익인기력승정와(屈膝側臥 益人氣力勝正臥)”라고 했다. 무릎을 구부리고 옆으로 드러누우면 반듯이 누워 있을 때 보다 더 많은 기력이 생긴다는 뜻이다. 또 ‘공자(孔子)’는 “매불시(寐不尸)”라고 했다. 잠을 잘 때 시체처럼 누워서 잠을 자지 마라. 즉 천정을 바라보고 잠을 자지 말라고 경고했다. 옆으로 드러누워 잘 때에는 오른쪽으로 드러누워 자는 자세가 가장 이상적이다. 

‘석씨계율(釋氏戒律)’의 길상수(吉祥睡)에 “와불적조형도시취저종와위(臥佛的造型都是取這種臥位) 건강한 잠 자세는 누워있는 부처님의 불상(佛像)처럼 오른쪽으로 누워서 잠을 자는 자세”라고 한다. 우측와위(右側臥位)는 전신의 근육을 이완시켜 주는 자세일 뿐만 아니라 호흡을 순조롭게 해주고 심장이 왼쪽에 있기 때문에 심장에 압박감이 없으며 위장을 비우는데도 이롭다. 

또 ‘마왕퇴(馬王堆) 십문(十問)’에는 “하룻밤을 뜬 눈으로 새우면 백날이 지나도 회복되기 어렵다”고 수면의 중요성을 이와 같이 무서운 말로 경고한다.

# 기력을 회복하는 만두
효능-연말에 평시보다 스트레스를 더 받고 소화기관이 약해 쉬 피곤해지는 것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
재료-무 300g, 소고기 500g, 표고버섯 50g, 생강 5g, 마늘 10g, 대파 30g, 약선 간장 10g, 만두피, 청주 15g, 후추, 참기름, 다시육수
만드는 법
1. 팬에 곱게 채 썬 무와 다진 쇠고기 다진 표고버섯 다진 생강, 마늘과 간장, 청주를 넣고 물기가 없을 때까지 볶아준다.2. 1의 재료에 다진 대파와 후추, 참기름을 넣고 잘 버무려 소를 만든다.
3. 2를 만두피로 싼 후 다시육수가 끓으면 만두를 넣고 3분 정도 끓여서 완성한다.
ⓒ 고성신문
고성신문 기자 / gosnews@hanmail.net입력 : 2022년 12월 30일
- Copyrights ⓒ고성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이름 비밀번호
개인정보 유출,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지역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
만평
상호: 고성신문 / 주소: [52943]경남 고성군 고성읍 성내로123-12 JB빌딩 3층 / 사업자등록증 : 612-81-34689 / 발행인 : 백찬문 / 편집인 : 황수경
mail: gosnews@hanmail.net / Tel: 055-674-8377 / Fax : 055-674-8376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남, 다01163 / 등록일 : 1997. 11. 10
Copyright ⓒ 고성신문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함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찬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