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지난 22일 고성읍 국민체육센터에서 제3회 월이 축제가 개최돼 조선을 구한 의기 월이 이야기를 연극으로 상영했다. 사진은 월이 축제 후 참석자들의 기념촬영 모습 |
ⓒ 고성신문 |
|
|
 |
|
ⓒ 고성신문 |
|
|
 |
|
↑↑ 월이 이야기를 담은 연극의 한 장면 |
ⓒ 고성신문 |
|
|
 |
|
↑↑ 월이를 기리는 헌공 의식 |
ⓒ 고성신문 |
|
|
 |
|
↑↑ 박경랑 한국무용가의 교방춤 |
ⓒ 고성신문 |
|
|
 |
|
↑↑ 시조를 창으로 읊는 율창의 한 장면 |
ⓒ 고성신문 |
|
|
 |
|
ⓒ 고성신문 |
|
|
 |
|
↑↑ 지난 21일 마암면 간사지에서 제10차 월이 둘레길 걷기 행사가 개최됐다. |
ⓒ 고성신문 |
|
|
 |
|
ⓒ 고성신문 |
|
조선을 구한 의기 월이의 정신을 기리는 월이 축제가 3년만에 돌아왔다.
고성향토문화선양회(회장 박서영)는 지난 21일부터 이틀간 마암면 간사지에서 제10차 월이 둘레길 걷기, 고성군국민체육센터에서 제3회 월이축제를 개최했다.
행사 첫날인 21일 마암면 간사지에서 개최된 제10차 월이 둘레길 걷기 행사에는 군내 초·중·고등학생 120여 명과 일반인 등 150여 명이 참가했다. 참가자들은 간사지교 주차장에 모여 간단한 출정식과 함께 준비운동을 마친 후 당항만역사생태공원까지 월이둘레길 약 2㎞를 걸었다.
둘레길 걷기 현장에서는 문화관광해설사가 동행해 월이가 왜군 밀정의 지도에 없는 물길을 그려넣었던 것으로 알려진 소소포, 현재의 마동호 일대에 대해 월이 이야기와 고성군의 역사, 마동호 탄생배경 등을 함께 설명해 재미를 더했다.
행사 이틀째인 22일에는 고성군국민체육센터에서 제3회 월이 축제가 개최됐다. 고성문화원의 입춤소고 공연과 오카리나 연주, 대원에어로빅의 월이와 함께 에어로빅 공연, 가수 김미리 씨의 공연과 함께 율창 월이 공연이 이어지며 관람객들의 눈과 귀를 사로잡았다.
행사장 입구에는 고성 곳곳의 풍경은 물론 고성의 역사와 문화를 담은 디카시작품들이 전시돼 관람객들에게 색다른 볼거리를 제공했다.
축제 현장에서는 의기 월이를 기리며 차를 바치는 헌공 의식이 진행됐다. 고성 출신 한국무용가이자 교방춤의 일인자로 불리는 박경랑 선생이 교방춤 무대를 선보였다. 이어 고성군여성합창단이 월이의 생애를 그린 노래들을 선보이며 월이의 호국충절 정신과 기백, 안타까운 일생에 대해 생각해보는 기회를 마련했다.
마지막 무대에서는 연극무대로 환생한 의녀 월이가 무대에 올랐다. 연극 월이는 박서영 회장이 제작하고 최송림 작가가 대본을 맡아 최성봉 연출가의 섬세한 연출과 함께 배우 박무영 씨가 월이로 무대를 이끌었다. 또한 배우 윤승원 씨가 이순신 장군으로 분해 특별출연했다.
연극 월이는 선조 25년 조선의 해안을 지도에 담기 위해 승려로 변장해 고성에 온 왜군 첩자가 객석에서 등장하며 시작됐다. 기방 무기정에 적을 두고 있던 월이가 이 첩자가 1년 전에 왔던 사람인 것을 알아보고 기지를 발휘했다. 월이는 만취한 그가 가지고 있던 지도에 지금의 고성천 하류인 소소포에서 죽도포(현 고성읍 수남리)까지 육지를 이어 뱃길을 그려넣었다.
1년 후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이 지도를 보고 왜군들이 당항만으로 들어왔다가 뱃길에 없어 우왕좌왕하던 중 이순신 장군이 이끄는 수군에 의해 섬멸당했다. 월이는 역사에 기록되지 않았으나 임진왜란 당항포대첩을 승리로 이끈 숨은 주역이라는 것을 연극을 통해 다시 한 번 알렸다.
박서영 고성향토문화선양회장은 “오늘에 이르기까지 월이의 흔적을 뒤지고 찾고 애국충렬 월이 정신을 알리고 드높이기 8년, 그 길은 너무나 힘겹고 험난할 때가 많았다”면서 “시월 상달 긴 코로나 팬데믹의 침묵을 깨고 다시 힘찬 항해를 시작하려 한다. 첫 무대에 오른 창작극 월이 연극을 뱃고동삼아 대한민국의 문화콘텐츠 월이와 함께 새롭게 뱃길을 열어가겠다”고 말했다.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