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폐기물, 폐비닐 등 농촌 환경문제 해결을 위해 각 마을에 집하장이 있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현재 고성군에는 21개소 공동집하장이 있다. 고성군 이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16년도부터 설치가 되었고 고성읍 월평리 2개소, 죽계리 1개소, 이당리 1개소 등 고성읍에는 4개소가 있다. 영현면 연화리·봉발리 각 1개소, 거류면 신용리 2개소 송산리 1개소, 구만면 용와리 광덕리 각 1개소, 개천면 명성리 1개소, 회화면 봉동리 어신리 삼덕리 녹명리 각 1개소, 하이면 학림리 1개소, 영오면 영산리 연당리 각 1개소, 삼산면 삼봉리 2개소가 있다.
이렇다 보니 공동집하장이 없는 마을의 경우 마땅히 둘 곳이 없어 개인별로 가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마을에 농업인 대다수가 고령 농업인이다 보니 공동집하장으로 가져 갈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는 것이 군민들의 의견이다.
일부 마을은 이장들이 자신의 트럭 등으로 공동집하장으로 가져가고 있다.
한 군민은 “농업 외 부분에 대해 농촌 환경문제가 있다. 영농폐기물 폐비닐 등 수집에 있어 각 마을에 집하장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군민도 “이런 부분에서 환경정책이 민이 수월할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 도시는 분리수거하는 것이 생활쓰레기만 나오지만 농촌은 사정이 다르다. 이런 부분도 관심을 갖고 농촌에서 생활하는 분들이 처리하기 수월한 정책이 있어야 한다. 환경 문제는 기후변화와 관련돼 중요하다”고 했다.
올해는 고성읍 이당리 면전마을 한 곳에 설치예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 2개소, 2018년 3개소, 2019년 2개소, 2020년 7개소, 2021년 7개소 등으로 진행되었으나 올해는 1개소만 계획되어 있어 군민들은 아쉬움을 표하고 있다.
군 관계자는 “혐오시설이 아닌데 주민들이 자기 집 근처에 설치되는 것을 반대한다. 어떤 면의 경우 집 주변에 공동집하장이 있어 이설해 달라는 민원이 있기도 했다. 그런 점에서 어려움이 있다”고 했다.
고성군은 올해 국비 30%, 도비 30%, 군비 40% 비로 6천만 원을 투입해 영농폐기물 176톤을 처리한다. 4월부터 5월 1차 집중 수거로 158톤을 수거했다. 9월부터 10월 2차 집중 수거 기간으로 2차 추경으로 예산을 확보해 실시할 예정이다.
군 관계자에 따르면 공동집하장 한 개소를 설치하는데 500여 만 원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군민들은 그 정도 예산이라면 순수 군비를 좀 더 과감해 투입해 공동집하장 설치를 확대해야 한다 입을 모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