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유스호스텔 건립 절대 반대한다
숙박업소군지부 건립 반대, 군의회 간담회 가져
전국 130개 지자체 적자 운영, 연간 13억 적자
상생협약체결 후 실무협의체 구성 제안
하현갑 기자 / gosnews@hanmail.net 입력 : 2021년 08월 13일
|
 |
|
ⓒ 고성신문 |
|
|
 |
|
↑↑ 지난 4일 숙박업고성군지부 업주들이 유스호스텔 건립을 반대하며 고성군의회 앞에서 시위를 한 후 군의원들과 간담회를 갖고 있다. |
ⓒ 고성신문 |
|
숙박업고성군지부(지부장 박재우)에서 유스호스텔건립을 취소해야 한다며 강력한 반대를 계속하고 있다. 숙박업고성군지부는 지난 4일 열린 고성군의회 월례회에서 유스호스텔건립 반대 시위를 한 후 고성군의원과의 간담회를 갖고 반대입장을 전달했다. 박재우 지부장은 전국 130여개 지자체에서 유스호스텔을 운영하고 있으나 거의 적자운영되고 있는데 고성군의회는 유스호스텔 현장조사를 하고도 조사보고서조차 발표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박 지부장은 “고성군의회는 자체 조사한 유스호스텔 실상을 군민에게 밝혀야 하며 지난 2020년 12월 군의회 예결위원회에서 유스호스텔기금 24억8천만 원을 통과시킬 때 숙박업군지부와 상생방안을 마련 후 군의회에 보고하고 사업을 추진할 것을 주문받고는 아무런 상생협약 없이 지난 7월 30일 일방적으로 착공식을 가졌다”고 주장했다. 숙박업소 고성군지부는 “전국의 유스호스텔 숙박율이 20%가 넘지 않는데도 군은 58%의 숙박율을 계산하여 연간 3천600만 원 흑자가 가능하다는 것은 이해되지 않는다. 유스호스텔은 그야말로 세금 먹는 하마”라며 반발하고 있다. 정순성 숙박업고성군지부 전 회장은 이미 승인된 유스호스텔 사업비 예산은 계획서 승인없이 예산을 승인하 법률위반으로 취소돼야 한다고 밝혔다. 정 전 지부장은 공유재산관리법 제10조 1항에 관리계획을 수립하여 위회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고 되어 있으나 승인시기가 명확하지 않고 공사완공 시점에서 관리계획을 의회에 제출하겠다고 하면서 유스호스텔 건립 사업비부터 승안받아 착공한 것은 잘못됐다고 주장했다. 숙박업고성군지부는 고성유스호스텔은 연간 13억 원의 적자로 군민 혈세가 낭비될 것이 불을 보듯 뻔한 사실인데 고성군은 군민과 군의회를 속이고 있다고 했다. 또한 240억 원이나 투입되는 유스호스텔이 과거 해군교육사령부고성유치와 삼호조선산업단지의 전철을 밟지 않기를 바라며 군의회는 하루 빨리 거짓없는 유스호스텔 타당성 조사를 다시 실시해 줄 것을 요구했다. 이에 숙박업고성군지부는 유스호스텔 반대와 건립후 상생을 위한 협약체결을 추진할 것을 요구했다. 군지부는 유스호스텔운영에 관한 실무협의체를 만들어 유스호스텔의 이용자는 MICE(마이스)산업 관련자 20인 이상의 단체관광객 수학여행단 1일 500명 초과하여 참여하는 체육행사 관련자 군민 1일 객실 5실 등 운영협약을 체결하자고 제안했다. 상생협약안은 이용요금 1인실 5만원 2인(장애인실) 4만 원 4인실 10만 원 6인실 12만 원 10인실 20만 원 이상으로 하고 숙박지부에서 지정한 자에게 객실의 이용현황과 예약현황 등의 열람을 허용한다는 안을 제시했다. 이들은 유스호스텔 사업비로 신월리 해안가에 해수욕장을 만들고 벽방산까지 케이블카를 설치해 관광인프라를 구축하면 민간업자가 유스호스텔을 투자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숙박업고성군지부는 고성군과 원만한 상생협약이 체결될 수 있도록 고성군의회에 중재해 줄 것을 부탁했다. 이날 고성군의회간담회에서 숙박업주들은 경기침체에다 코로나19로 몇 개업소가 폐업하거나 문을 닫아 생계마저 막막하다며 눈물로 호소했다. 또 이들 숙박업주들은 고성군에서 전지훈련과 전국대회를 유치하면서 숙소가 부족해 통영지역으로 돈이 빠져 나가고 있다고 홍보하는 것은 1년에 고작 2~3개 대회만 고성에서 수용하지 못하고 있을 뿐이라고 반박했다. 최을석 의원은 “유스호스텔 건립으로 숙박업소들에 생존권을 위협받고 있다. 이들도 고성군민이다. 숙박업소들의 고충을 잘 파악하여 배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영환 의원은 유스호스텔 설계와 감리를 같은 업체에 주는 것은 특혜이다. 숙박업소는 13억 적자가 난다고 하고 행정은 3억6천만 원 흑자가 난다고 하는데 서로 다른 수지타산을 내고 있다. 공유재산 취득이 적법한 절차인지 의회에 다시 보고하여 검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향숙 의원은 숙박업소와 상생협약을 빨리 체결하여 해결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상생협약에 관한 운영은 군의회 조례에 반영되어야 하며 협약단계부터 숙박업지부의 구체적으로 결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또 군민 1일 5실 제한을 둘 경우 군민들의 반대가 예상되어 충분히 의견수렴 후 상생협약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장찬호 군정혁신담당관은 “숙박업소군지부와 상생협약을 맺어 실무협의체 구성은 가능하다. 유스호스텔 공사가 어느 정도 진행된 후 내년 6월이후 이용요금 등은 군의회 조례를 제정하고 세부협약을 체결하는 것이 절차상 타당하다”고 밝혔다. 군은 현재까지 8차례 숙박업소 간담회를 가져 지난 7월 22일 기본예약 선 체결 세부내용 후 논의키로 협의했으나 다음날 23일 숙박업소에서 수용의견을 철회하여 상생협약을 체결하지 못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
하현갑 기자 / gosnews@hanmail.net  입력 : 2021년 08월 13일
- Copyrights ⓒ고성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가장 많이 본 뉴스
만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