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해시의회 시민 의견 수렴 후 이전 결의안 채택 방침
진해 균형발전 저해 요인… 해교사 이전 진해시민 숙원사업
진해 해군교육사 이전과 고성유치에 관 지역주민들의 의견이 분분한 가운데 최근 진해시의회와 진해시 국회의원이 주관한 진해국제포럼에서 해교사 이전이 공식 거론되는 등 또 다른 여론이 일고 있다.
여기에다 최근 지역언론사마다 다양한 보도가 나오면서 해군교육사 이전을 놓고 혼선마저 초래하고 있다.
지난 12월 13일 진해시청에서 김학송 국회의원이 주관하고, 사단법인 진해국제포럼이 주최한 '진해시 균형발전 어떻게 이룰 것인가'라는 주제의 진해시 균형발전 정책세미나가 열렸다.
이 포럼 자리에는 진해시장, 경남도의원, 진해시의원, 진해시민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띤 토론이 벌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 자리에서 김학송 국회의원은 “해군교육사가 진해시의 중심부에 위치하여 서부권 발전에 저해 요인이 되고 있다. 해교사 부지 활용은 진해시와 해군이 함께 고민하여 윈-윈 전략을 수립하여 연구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헌일 진해시의원도 “진해 서부권 발전을 위해서는 40만평의 경화동 교육사 군사시설 이전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하고, 서부권 발전에 교육사 시설 이전은 필수적이다”라고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12월 22일 제203회 진해시의회 제3차 본회의에서 진해시 건설산업위원회 소속 배학술 의원은 4분 자유발언을 통해 군부대 이전과 관련한 진해시의 발전방안을 제시했다.
배 의원은 경화동에 소재한 해군교육사령부의 예하부대인 기초군사학교와 전투병과 학교의 34만 5천여 평과 해군시설대 7만여 평, 구 해군대학 9만여 평 등 50만 5천여 평을 국방부와 해군 측이 협의하여 고성군의 164만여 평의 부지로 이전시키는 것이 진해발전을 위해 타당하다고 밝혔다.
특히 배 의원은 이 부지에는 이재복 시장이 공약한 해양물류 전문대학을 유치하며, 공해 없고 연중 관광객이 찾을 수 있는 디즈니랜드나 롯데월드와 같은 대단위 위락단지를 조성하자고 역설했다.
서부권 주민 대표로 참석한 심태섭씨는 서부권 시민의 상실감과 소외감을 밝히면서 서부권 낙후의 문제점은 해군기지법과 산재한 군사시설이며 1997년도에 청와대로부터 군부대 이전가능의 회신이 있었으나 육군대학과 해군대학만 계룡대로 이전한 상태로 정부에서 약속을 지키지 않음을 지적했다.
동부권 시민대표 홍종욱씨는 해군교육사 25만여 평에 대학분교를 유치하자는 의견에서부터 부대 이전을 위한 다각적인 대책마련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한편, 진해상공회의소도 지난 12월 11일자 해군교육사령부는 유치를 희망하는 고성으로 이전하고 그 자리에 대단위 위락시설과 전문대학을 유치하는 것이 지역 장기발전을 위해 바람직하다는 건의서를 진해시장에게 공식 건의한 것으로 확인됐다.
아울러 진해시 의회에서도 16만 진해시민의 숙원사업인 해군교육사 이전 건의와 동시에 시의회 차원에서 이전 결의안을 채택한다는 방침도 세우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처럼 진해시와 진해시의회, 진해시민들 대다수가 해교사이전을 조속히 바라고 있는 분위기 속에 향후 정부와 국방부, 해군의 입장 추이를 면밀히 분석해 대처해야 한다는 여론이다.
또 일각에서는 해교사이전 문제가 차기 대통령 선거 이후 중장기계획이 수립돼 이전여부가 결정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따라서 섣불리 지금 사항에서 해교사가 이전된다 안 된다고 결론짓기에는 성급하다는 여론이 많다.
이에 해교사범군민유치위와 재외해군교육사령부 유치위, 고성군은 해교사유치 공감대를 형성해 나가는 한편 해군과 진해시의 입장을 지켜 보면서 차분히 준비한다는 전략을 세워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