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일자리사업 중장기 계획 세워 고용창출해야
이용재 의원 제261회 임시회 5분 자유발언
노인일자리 가장 우선적이고 장기적인 복지
지역 실정 감안한 맞춤형 정책 마련해야
최민화 기자 / 입력 : 2021년 03월 12일
|
 |
|
ⓒ 고성신문 |
|
노인 일자리 창출에 대한 중장기 계획을 수립해 제도적 뒷받침과 함께 실질적인 고용창출로 이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이용재 의원은 지난 9일 제261회 고성군의회 임시회 5분 자유발언을 통해 노인 일자리 사업에 대한 중장기적인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용재 의원은 “노인들의 일자리 사업은 노인의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을 높이는 심리적, 정서적 효과는 물론 친구나 이웃들과의 원만한 사회관계를 증진하는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면서 “이러한 긍정적인 효과에도 노인들이 참여할 수 있는 일자리 사업에는 많은 한계점이 있다.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는 노인 일자리 공급의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2019년 노인실태 조사에 따르면 일자리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노인은 30.2%이며 이 중 82%는 비임금 근로자로, 일자리 사업에 참여하고 싶은 노인에 비해 일자리는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라며 “일자리 사업에 참여하고 싶은 노인에 비해 일자리는 턱없이 부족하다”고 말했다. 이용재 의원은 “노인들이 역량을 펼칠 수 있는 일자리다운 일자리가 없다”면서 “집행부에서는 정부의 정책에만 의존하기보다는 우리군의 실정을 감안한 맞춤형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놨다. 이 의원은 인력풀제도를 적극 활용하고 노인 일자리 알선 전담 인원을 둬 실질적인 노인의 일자리 창출로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해달라고 요청했다. 또한 변화하는 일자리 수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일자리를 연결해 주는 수동적인 정책이 아니라 능동적이며 맞춤형 접근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그는 이어 “노인들이 일할 수 있는 고용의 형태와 질, 연령별 가능 업무 등을 구체적으로 통계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단체, 기업 및 노인복지정책 담당자와의 긴밀한 협의를 통해 일자리 알선, 지도, 개선 및 사후관리까지 이어지는 체계를 갖춰야 한다”고 말했다. 이용재 의원은 “기존 노인 일자리 사업 내용의 단순성과 획일성을 탈피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면서 “이제 곧 노인 인구에 유입하기 시작하는 베이비부머들은 현재의 고용 프로그램을 적용할 수 없는 정책의 사각지대에 놓였다고 할 수 있다. 베이비붐 세대와 노인들이 전문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다양한 일자리 발굴과 고용 가능성과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직업훈련, 실질적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 등이 제도적으로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했다. 이용재 의원은 “청년들의 일자리를 베이비붐 세대와 노인들이 잠식하는 것이 아닌 노인들이 필요한 분야에 적절히 투입되는 것이라는 사회적 인식 개선과 함께 세대 간 통합을 이룰 수 있는 제도적 프로그램도 필요하다”면서 “노인일자리 지원 사업은 어르신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장 우선적이고 장기적인 복지 정책 중 하나이며, 지속 가능한 정책으로 정착하도록 중장기적 대안 마련과 함께 지속적으로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당부했다. |
최민화 기자 /  입력 : 2021년 03월 12일
- Copyrights ⓒ고성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가장 많이 본 뉴스
만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