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반다비체육문화센터 무장애시설로 건립
주차장에서 건물내부 진입동선 최소화
GX룸 등 공간 협소, 체력단련실로 사용 고려
미닫이문으로 변경, 경사로 설치검토 의견
고성신문 기자 / gosnews@hanmail.net 입력 : 2020년 11월 13일
|
 |
|
ⓒ 고성신문 |
|
고성반다비체육문화센터가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들도 불편함 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기본설계 변경해 건립될 예정이다. 군은 지난 10일 국민체육센터 회의실에서 고성군체육회, 장애인체육회 관계자 1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고성 반다비 체육문화센터 건립사업 기본설계수정안 보고회를 개최했다. 설계를 담당한 ㈜무위건축사사무소 관계자는 장애인들이 주차한 후 건물 내부로 진입하는 동선을 최소화하고, 체육관과 탈의 및 샤워시설, 화장실 등에 이동동선을 확보하고 체육관 내에는 장애인들의 활동폭을 고려해 좌우 폭을 늘리거나 농구장 규격을 줄여 여유공간을 확보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장애인관람석 대신 소그룹, 매트운동 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고려 중이라고 밝혔다. 체력단련실 내에 사무실과 GX룸을 별도로 설치해 공간이 협소할 수 있어 전체를 체력단련실로 사용하는 방안도 고려 중이라고 말했다. 당초 계획보다 사무실 면적을 줄이고, 추후 장애인 체육회가 사무실을 운영하게 되면 업무 특성을 고려해 적절하게 배치하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도 제시했다. 옥외주차장에는 10대가 주차할 수 있는 장애인주차장을 조성하고, 여자 화장실은 장애인 화장실 1칸과 확장 3칸, 일반 1칸, 남자화장실은 장애인화장실 1칸, 확장 1칸, 일반 1칸 등 법규에 맞는 장애인화장실을 남녀 각 1개소씩 조성한다. 2층 다목적실은 1층으로 위치를 변경하고 장애인체육회가 운영하는 사무실로 사용하는 방안을 고려 중이다. 김명주 주순애원장은 “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체육시설이기도 하고 아이를 동반한 경우, 보행보조기를 사용하는 노인이나 힘이 약한 노약자 등 이용 대상자들의 특성을 고려해 여닫이문보다 미닫이문이 더 적합하다고 본다”며 “휠체어 등을 사용하는 이용자가 이동하기 원활하도록 경사로를 설치할 수 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김도현 고성군장애인복지센터장은 “소규모 수중재활실 설치 의견도 있었는데 설계도상 반영되지 않았다”면서 “재활뿐 아니라 향후 수영수업 등에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성격상 체육시설로 볼 수 있으니 수중재활시설 설치를 고려해달라”고 요청했다. 또한 “2층에 휴게마루를 조성할 경우 안전에 더욱 신경써야 한다”면서 “장애인과 어린이들이 시설을 이용하는 경우 불상사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안전대책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건설사 관계자는 “여닫이문을 슬라이딩도어로 교체하는 것은 어렵지 않으니 반영하겠다”고 말하고 “수중재활실은 인지하고 있으나 지정용도에서 벗어나면 국비 지원에 문제가 생길 수 있어 건립 후 실제 사용 시 충분히 고려해 배치하겠다”고 설명했다. 또한 경사로 설치에 대해 “높이에 따른 길이, 소요폭 등을 고려해 법적 기준에 맞춰야 설치가 가능한데 현 부지에서는 내부에 경사로를 확보하는 것이 힘든 상황”이라면서 “노유자 시설의 미끄럼틀 형태 탈출로는 추가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고성읍 기월리 91번지 일원에 건립될 예정인 고성 반다비 체육문화센터는 99억 원을 투입해 장애인체육관 1천835㎡, 생활문화센터 915㎡, 연면적 2천750㎡로 조성된다. 지난해 9월 2020장애인생활밀착형 국민체육센터 공모에 선정돼 문화체육관광부의 자업비를 지원받아 진행하는 이번 사업은 지난 6월 건축설계 공모를 거쳐 8월부터 기본 및 실시설계 용역을 진행 중이다. 내년 4월 착공 후 약 1년의 공사를 거쳐 2022년 3월 준공하게 된다. 또 고성읍 기월리 일원에서 추진하고 있는 고성군 반다비 체육문화센터 사업이 2020장애인 생활밀착형 국민체육센터 공모에 선정돼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사업비 30억원을 지원받는다. 이 사업은 장애인이 우선적으로 사용하되 비장애인도 함께 이용할 수 있는 시설로 단순한 체육시설이 아닌 장애인 커뮤니티센터 및 복합 문화체육시설의 기능을 갖추게 된다. 군은 반다비체육센터와 생활문화센터를 복합화하는 것을 정부 국가균형발전위원의 생활 SOC복합화사업으로 공모 신청했으며 공모사업이 선정되면 인센티브 19억 원을 추가로 확보하게 된다.
“이 기사는 경상남도 지역신문발전지원사업 보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
고성신문 기자 / gosnews@hanmail.net  입력 : 2020년 11월 13일
- Copyrights ⓒ고성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가장 많이 본 뉴스
만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