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고성신문 |
|
발달장애인들이 졸업 후 경제활동으로 자립할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고성군은 지난 13일 장애인부모회와 고성교육지원청,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경지사, 영보직업재활센터, 고성군장애인복지센터, 사랑나눔공동체, 일자리창출담당, 장애인복지담당 등 관계자 20여 명이 모인 가운데 장애인 자립 관련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는 지난해 12월 10일 장애인부모 간담회 당시 가장 큰 고충으로 꼽힌 졸업 후 취업 등 진로 문제에 대해 백두현 군수가 직접 제안해 마련됐다. 이 자리에서는 발달장애인들이 졸업 후 경제활동을 통해 자립하고 사회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기관단체간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영보직업재활센터 관계자는 “최근 사업분야를 전환하면서 시설투자비용이 소요되고는 있지만 전국 평균보다 높은 급여를 지급하고 있다”면서 “근로자와 훈련생으로 구분되는 데다 근로능력에 따라 임금이 차이는 있지만 시설조성이 완료되면 인건비는 상승하게 되며 식비는 이미 2018년부터 시설에서 부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이 관계자는 “현재 훈련생 인원 기준이 20명으로 묶여있는 상태로, 30명으로 늘리기 위해서는 예산이 늘어나는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 섣불리 증원할 수 없다”면서 “현재는 센터에 취업하고자 해도 대기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백두현 군수는 “인력증원과 관련해 행정처리 절차나 예산 등은 행정과 센터장이 충분히 논의해보겠다”고 밝혔다.우석주 사랑나눔공동체 대표는 “성인 발달장애인의 일자리 마련은 시급한 문제지만 3년차 이상 사회적기업은 자부담 비율 50%로 인해 힘들어 연속성이 떨어진다”면서 행정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도현 고성군장애인가족지원센터장은 “공단에서 취업연계 등의 업무를 하고 있어 취합 관리는 힘들지만 지역 내 희망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가능하다”면서 “센터 내에서 평가 등도 가능하기 때문에 정보를 찾기 힘든 경우 센터에 도움을 요청하면 연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한국장애인고용공단 관계자는 “지난해 고성군내에서 재정지원을 제외하면 톨게이트 일자리 사업이 전부였으며 기업들의 채용 의지가 낮은 편”이라면서 “현재 공단에서는 일자리에 맞는 장애인의 취업 알선도 하고 있으나 장애인 고용은 기업의 의지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정부시책이라 해도 강제할 수가 없다”고 밝혔다.
백두현 군수는 “교육과 복지는 행정이 책임져야 한다고 생각하며 이를 위해서는 실무진의 논의가 필요하다”면서 “기업인의 의식 전환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하며 군에서도 상공협의회 등 기업인과의 자리를 만들어 근로능력이 있는 장애인들의 취업을 위해 의견을 나눠 개선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군은 올해 총 10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장애인 자립 지원을 위한 일자리사업, 장애인 생활안정을 위한 장애인연금·수당지급, 장애인의 사회참여를 위한 장애인단체지원 등의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