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촌·용정지구 후속사업자인 경남중공업이 사업추진을 위해 부산은행과 채권관계를 정리 중인 가운데 아직까지 계약금조차 예치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나 사업추진여부가 불투명해졌다.군민들은 새로운 후속사업자의 자금력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면서 또 다시 양촌·용정지구가 방치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양촌·용정지구의 후속사업자로 나타난 경남중공업은 지난 2018년 1월 법인을 설립하고 같은 해 12월 삼호조선해양의 주식(60%) 양도·양수계약을 체결했다. 하지만 양촌·용정지구를 정상화하기 위해 특화사업자를 변경해야 한다.
경남중공업은 부산은행과 채권관계를 정리하기 위해 협의 중이지만 아직까지 계약금 12억 원을 예치를 하지 못해 계약을 하지 못한 상태로 알려졌다.채권정리가 늦어지자 고성군에서는 경남중공업의 사업추진 의지를 확인하기 위해 지난달까지 부산은행과 삼호조선의 채권채무관계를 정리해 서류를 보내줄 것을 요구했다.하지만 경남중공업에서는 지난 3일까지 기간을 연장해줄 것을 요청했고 고성군에서는 기다려보기로 했지만 현재까지 서류를 보내주지 않고 있다.군 관계자는 “경남중공업에서 오늘(4일) 투자자를 만나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투자자를 만나고 나서 군에 진행사항을 알려주기로 했다”고 말했다.
또 “경남중공업에서 부산은행과 계약을 통해 원만하게 사업을 추진할 경우 그에 따라 군에서도 조치를 취할 예정”이라며 “만약의 경우 사업이 제대로 추진되지 않을 때에도 대처방안을 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경남중공업은 또 부산은행과 삼호조선의 매매절차가 완료되면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는 반드시 바다매립에 따른 복구비용 약 50억 원을 예치해야 한다.이처럼 경남중공업이 부산은행과의 계약이 늦어지면서 군민들은 양촌·용정지구의 후속사업자의 자금력 확보에 대한 문제를 제기했고 이제 자금력이 없다는 것이 드러나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나온다.
김 모 씨는 “양촌·용정지구가 삼호조선에 이어 새로운 사업자가 나타나 정상화될 것으로 기대를 했지만 후속사업자도 마찬가지로 자금력이 부족해 보인다”며 “행여나 사업을 추진하다가 삼호조선처럼 또 다시 사업을 중단하고 포기를 한다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주민들에게 돌아가기 때문에 군에서는 신중하게 검토해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한편 양촌·용정지구는 사업자인 삼호조선해양㈜에서 사업비 4천300억 원을 들여 육상부 73만1천988㎡, 해상부 93만6천849㎡ 등 총 166만8천837㎡에 공유수면매립과 공장설립 등의 사업을 추진했다.2008년 2월 환경영향평가 협의를 완료해 이후 2008년 5월 공유수면 매립면허 승인, 2008년 11월에 공유수면매립 실시계획승인 고시를 득하고 이듬해 7월 1공구(공유수면 매립구간)의 공사를 착공했다.하지만 모기업인 삼호해운의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한 자금난 발생으로 최종 부도처리됨에 따라 2010년 12월 공사가 중지(공정률 약 5%)되고 특화사업자 소유의 편입 토지가 2013년 11월 경매로 부산은행에 매각됨에 따라 후속사업자를 선정하기 위한 절차를 이행하면서 경남중공업이 후속사업자로 나타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