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군보건소 산부인과 전문의의 계약이 한 달 남짓 남은 가운데 전문의를 구하지 못하면 발생하는 공백에 대한 대책이 마련되지 않고 있어 우려의 목소가 높다.현재 고성군보건소에는 1명의 산부인과 전문의가 상주하며 산전검사와 질염, 방광염 등 산과질환을 검사 및 진료하고 있다. 보건소 산부인과는 경상남도가 시행 중인 취약지 산부인과 개설 사업의 일환으로 고성에서는 지난 2017년 11월 1일 진료를 시작했다. 군은 도의 지원으로 장비를 포함한 시설비와 부대비 1억 원, 인건비 1억 원 등 약 2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산부인과를 개원했다.65세 이상은 무료 진료, 65세 미만은 1천100원에 진료가 가능해 군민의 편의를 제공하고 나아가 군의 인구 증가시책, 출산장려시책 등과 함께 군내 출생률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그러나 산부인과 전문의를 구하지 못해 당초 예상보다 개원이 늦어지면서 원성을 사기도 했다. 당시 네 번에 걸친 모집공고 이후에야 전문의를 임명할 수 있었다.현재 진료를 담당하는 전문의가 계약기간인 2년이 끝나는 올해 11월 30일자로 계약완료를 원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당장 한 달 안에 전문의를 구하지 못하면 산부인과 진료에 공백이 생길 것으로 보인다.보건소 관계자는 “전문의 계약 만료에 따라 모집공고를 내려고 준비하고 있다”면서 “지역 특성상 의사를 구하기 힘들어 또다시 개원 당시와 같이 모집공고를 반복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고성군 행정과 담당자는 “계약만료 한 달 전인 10월 말, 11월 초 전문의 모집공고를 계획하고 있고 순수 도비가 투입되는 임금 등에 대해 경남도와 협의하고 있다”면서 “지역 특성상 의료진을 구하기 쉽지 않고 임금 등도 일반 산부인과보다 적은 것이 사실이라 군부에 오는 것이 의사 입장에서는 메리트가 없다고 볼 수 있어 인력 해소가 제일 큰 일”이라고 말했다.또한 이 관계자는 “도 사업이기 때문에 경남도에도 인력 확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수 차례 요청했다”면서면서 “의료분만취약지역이라 도비 100%가 지원되고, 경남도내 다른 시군의 보건소 산부인과 전문의와 비교해 성과급 연봉 170%에 해당하는데 군부에 근무하는 것을 꺼리는 탓에 인력 확보가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군민 A씨는 “개원 초기에도 인력 확보 때문에 문제를 겪었는데 또 다시 진료 공백을 걱정해야 한다니 답답하다”면서 “인구증가까지는 아니더라도 군민들의 건강 증진을 위해서 진료에 차질이 없어야 할 보건소에서 별다른 대책도 없이 도와 협의만 기다리고 있다는 것이 한심하다”고 지적했다.B씨는 “고성이 작은 지역이기 때문에 남자 산부인과 의사에게 진료받는 것을 꺼리는 인식도 있겠지만 그보다 더 우선 문제는 인력 확보가 원활하지 않다는 것”이라고 지적하고 “전문의 확보에 대해 도와 협의해 확실한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