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군이 고용위기지역으로 지정되면서 일자리창출과 관련된 정부지원을 받아 다양한 일자리사업을 하고 있지만 실직자들은 장기적인 일자리를 마련해줘야 한다 여론이다.군에 따르면 고용위기지역 지정으로 정부의 지원받아 일자리창출을 위해 희망근로 지원사업, 고성다이노스타(청년) 일자리사업, 뉴딜일자리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다.희망근로 지원사업은 공공일자리 창출을 통해 실직자 등 생계안정 지원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총사업비 18억여 원을 들여 지난 8월부터 수남유수지 생태공원 환경정비, 고성읍 시가지 환경정비 사업, 남산공원 환경정비 등 총 45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사업대상자는 만18세 이상 근로능력자 중 실직자 또는 실직자의 배우자면 참여가 가능하며, 읍면사무소를 통해 참여 신청이 가능하다. 1일 8시간 이내 주 40시간(만 65세 이상 주 15시간) 이내 근무하게 되며 시급 7천530원이 지급되고 근무기간에 비례해 유급주휴일 및 연차유급휴가도 부여된다.지난 8월 희망근로 지원사업을 시작할 당시 327명이 신청해 참여했지만 중도에 이직하거나 개인사정으로 인해 그만두는 인원이 많아 현재 265명으로 줄었다.
고성 다이노스타(청년) 일자리사업을 통해 사업비 4억 원을 들여 32명의 청년들이 지역 기업체에 취업하도록 하는 성과를 거뒀다.사업에 참여해 지역청년을 채용한 기업에게는 최대 3년간 연간 2천400만 원의 인건비가 지원되고 직무능력 향상 교육 등 청년일자리 확대를 위한 다양한 지원한다.지역사회에서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참여 청년에게는 사회 일 경험 제공과 직업역량 배양 후 민간 일자리 진입을 촉진하기 위해 시행하는 경남형 뉴딜 일자리사업도 추진하고 있다.경남형 뉴딜 일자리사업은 행정안전부에서 지원하는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사업의 일환으로 청년들이 직무경험을 쌓고 이것이 취업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일자리사업으로 현재 5명이 참여하고 있다.이밖에도 고성군에서는 다양한 일자리 창출을 위한 사업 및 교육을 추진하고 있지만 일부에서는 단기적인 일자리 창출에만 급급하고 장기적인 일자리 창출 계획은 없다는 목소리가 높다.
김 모 씨는 “조선업체에서 일을 하다가 실직하고 일자리를 찾는데 경기가 어렵다 보니 취직하기가 쉽지 않다”면서 “군에서 다양한 희망근로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최저임금에다 기간도 단기간이어서 가족이 있는 실직자들이 생계를 이어가기 위해 사업에 참여하기는 사실상 어렵다”고 말했다.그는 또 “단기적인 일자리를 늘리기보다는 장기적으로 안정된 일자리를 만들어 줬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덧붙였다.군 관계자는 “고용위기지역으로 지정되면서 정부의 지원을 받아 사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정부지원도 한시적으로 지원되다 보니 장기적인 사업을 추진하기 힘들고 희망근로사업도 임금과 노동시간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변경이 어렵다”면서 “행정에서 장기적인 일자리를 개발하는 것은 어렵고 실직자들이 교육 등을 통해 기업에 취직할 수 있도록 도와주거나 경기가 하루 빨리 회복되는 것을 기대할 수 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