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수 경남도지사가 4일 남부내륙철도(서부경남 KTX)건설사업을 정부 재정사업으로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강력하게 밝혔다.김 지사는 진주 소재 경남도 서부청사에서 열린 첫 공식 업무보고 자리에서 “남부내륙철도(서부경남 KTX)건설사업을 정부의 정책적 결정에 의해 추진하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김지사는 도지사 후보당시 고성을 찾아 백두현 군수와 함께 KTX 고성환승역을 유치하도록 노력하겠다고 공약했다. 따라서 고성군민들도 서부경남 KTX 고성역 설치를 기대하고 있다.그는 “서부경남 KTX는 취임 후 도지사가 가장 역점을 두고 있는 추진하고 있는 사업”이라며 “현재 진행되고 있는 한국개발연구원(KDI)의 민자 적격성 용역의 경우 결과가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나올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되 그 결과 여부를 떠나 정부가 정책적으로 결정할 수 있도록 준비하라”고 주문했다. 김 지사는 “정부의 정책적 결정에는 내가 책임지고 추진해나가겠다”고 했다.김 지사는 6·13 지방선거 첫 번째 공약으로 ‘서부경남KTX사업을 정부 재정으로 임기내 조기착공할 것’을 약속한 바 있다.김 지사의 이같은 발언은 현재 민간제안사업 추진을 염두에 두고 민자적격성 조사가 진행 중인 서부경남 KTX사업을 정부 국책사업으로 전환 시행하겠다는 의지를 취임 후 처음으로 공식 표명한 것이다.김 지사는 이어 “국토부에서는 정책사업으로 추진하는데는 민자보다는 재정사업으로 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의견이 높은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이것이 정책적 결정으로 이어지도록 서부권개발국을 중심으로 서부청사 차원에서 노력해달라”고 당부했다. 이는 서부경남 KTX를 정부 재정사업으로 빠른 시일 내에 추진하기 위해 정부와 협의가 진행되고 있고, 국가균형발전 차원에서 정부 재정사업으로 추진하는 것에 청와대, 정부와도 어느 정도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는 것으로 해석된다.남부내륙철도사업은 지난해 5월 국토부가 민간투자사업(민자사업)으로 방향을 정했다. 낮은 B/C(비용대비편익)결과와 SOC(사회간접자본)예산 축소로 정부는 민자방식으로 선회했고 현재 민자적격성조사가 진행 중이다.
하지만 김경수 도지사가 남부내륙철도 건설을 다시 민자가 아닌 정부재정사업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히면서 그 결과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김경수 도지사가 정부재정사업이라는 새 카드를 뽑아들면서 경남도도 바빠졌다.하승철 경남도 서부권지역본부장은 지난 3일 KDI(한국개발연구원)와 기재부를 잇따라 방문해 정부재정사업의 필요성을 역설했고 그 내용을 김 지사에게 보고한 것으로 알려졌다.하승철 본부장은 “남부내륙철도가 민자사업으로 진행될 경우 국민의 안정성이나 공공성보다는 수익성에 치중될 우려가 있다”고 했다. 이어 “수익이 저조할 경우 적자를 보전해 줘야 하기 때문에 더 많은 예산이 지출될 수도 있어 민자보다는 정부재정사업으로 가는 것이 맞다”고 설명했다.남부내륙철도가 정부재정사업으로 진행되기 위해서는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예비타당성조사 결과 경제적 타당성에서 B/C가 0.8 이상이 돼야 하고, 정책적 타당성과 지역균형발전분석까지 더해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계층화분석법(AHP) 점수가 0.5이상 돼야 한다. 경남도에 따르면 지난해 5월에 실시한 재정사업 경제적 타당성조사에서 B/C는 0.72가 나왔다. 이에 경남도는 0.08(B/C)을 올리기 위해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하승철 본부장이 3일 KDI를 방문한 것도 이와 관련이 있다.한편 민자적격성조사는 오는 8월에 완료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