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주)고성신문사 |
|
전국 석탄화력발전소 가운데 경남 삼천포화력 5호기가 발전량에 비해 가장 많은 초미세먼지를 배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결과가 발표되면서 고성군민들은 초미세먼지 공포에서 생활해야 하는 처지에 놓여있다. 여기에다 군민들은 고성하이화력발전소가 가동되면 더욱 더 고성지역의 초미세먼지 배출은 증가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신창현 의원이 산업통상자원부와 환경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삼천포 5호기의 초미세먼지(PM2.5) 단위배출량(㎏/MWh)은 0.498로, 전국 61기 석탄화력발전소 중 가장 높았다. 삼천포 5호기는 지난 1년간 약 411만MWh를 발전하면서 초미세먼지 2천47톤을 배출한 반면, 단위배출량이 가장 낮은 삼척 그린파워 2호기는 243만MWh 전력을 생산하며 초미세먼지 57톤을 배출해 삼천포 5호기의 1/22 수준에 그쳤다.
삼천포 5호기에 이어 삼천포 6호기(0.463)와 호남화력 2호기(0.370), 동해화력 1호기(0.333)가 초미세먼지 단위배출량이 높은 석탄화력발전소로 집계됐다. 특히 삼천포 5호기는 지난해 1년 동안 약 411만㎿h를 발전하기 위해 초미세먼지 2천47톤을 배출한 반면, 삼척 그린파워 2호기는 243만㎿h 전력을 생산하며 초미세먼지 57t을 배출해 대비된다.
전국 61개 석탄화력발전소가 내뿜는 미세먼지는 간과하기 어려울 정도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전체 석탄화력발전소가 배출한 미세먼지는 총 2만6천657톤이다. 같은 석탄화력발전소라도 미세먼지 방지시설의 설치 여부에 따라 배출량의 차이가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
지역별로는 전국 61기 석탄화력발전소 중 충남지역의 발전소 32기가 총 미세먼지 배출량의 44.9%에 해당하는 1만1천970톤을 배출했고, 경남지역 발전소 14기가 36.2%인 9천662톤의 초미세먼지를 배출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해 5월 취임과 함께 3호 업무지시로 미세먼지 대책에도 불구하고 전국 석탄화력발전소 중 삼천포화력 5호기가 지난해 발전량 대비 가장 많은 초미세먼지를 배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당시 문 대통령의 지시로 정부는 30년 이상 오래된 삼천포 화력 1·2호기 등 석탄화력발전소 8기의 가동이 일시 중단되는 등 각종 대책을 내놓았으나 경남지역 미세먼지 종합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한편 경남도의 미세먼지 관리 종합대책에 따르면 현재 창원·진주·김해 등 7개 시·군 20곳에 불과한 국가측정망을 오는 2020년까지 13개 시·군, 26곳으로 늘린다는 계획이지만 계획대로 확충되더라도 5개 지자체(거창·산청·합천·의령·창녕)는 측정소를 한 곳도 갖추지 못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