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위기지역으로 지정된 고성군에 국도 77호선 건설공사를 비롯한 당항만둘레길해안탐방로 개설사업이 본격 추진된다. 고용위기지역인 고성군은 △고성~통 국도건설 50억 원 △광도~죽계 국도건설 20억 원이 지원된다.또한 △공룡AR체험존 조성 15억원 △당항만 둘레길 해안탐방로 설치 21억 원 △죽계-진전 국도건설 20억 원 △남포항 정비사업 10억 원 추경예산이 확정돼 투입된다.
국회가 지난 21일 의결한 정부 추경예산안 중 경남도내 고용위기지역 지원에 배정된 예산은 국비 829억 원을 포함해 1천29억 원으로 나타났다. 경남도는 또 행정안전부가 주도하는 지역일자리 사업은 국비 105억 원을 포함해 232억 원이 배정됐다고 23일 밝혔다.이번 추경에 반영된 고용위기 지역별 주요사업은 창원시의 경우 △자동차 새시모듈화 전략부품 개발 66억 원 △전기자동차 구매지원 23억4천만 원 △지능형기계엔지니어링센터 구축 20억 원 △거제~마산 국도건설 20억 원이다.
통영시는 △삼도수군 통제영 체험존 상영관 설치 7억5천만 원이다. 거제시는 △해안 거님길 조성 69억 원 △옥수동 새시장 주차장환경개선사업 16억 원 △외포항 정비사업 20억 원 △능포항 정비사업 15억 원이다. 도는 이날 18개 시·군 부시장·부군수와 도 실·국장이 참석한 가운데 영상회의를 열고,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부추경의 신속한 집행 등에 대해 논의했다.한경호 권한대행은 “이번 추경이 지역경제 회복의 마중물이 되고, 특히 조선산업 실직자 일자리 지원사업 등을 통해 조선산업 위기로 고통받고 있는 근로자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해달라”고 밝혔다.
올해 ‘청년 일자리 창출과 고용·산업위기지역 지원’ 추경 규모는 3조8천317억 원이다. 애초 정부안(3조8천535억 원)에서 218억 원이 줄었다. 이 가운데 경남도에 국비 960억 원을 포함해 총 1천311억 원이 반영됐다. 그러나 교통비·취업장려금 등 청년 직접 지원 예산이 줄어든 대신 사회간접자본(SOC) 투자 예산이 크게 늘었다. 도내 4곳을 비롯해 고용위기지역 6곳에도 SOC 예산이 집중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