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논란이 일었던 고성독립운동사의 개정판이 올해 중 발간된다.개정판은 ‘고성항일운동사’로 제목이 변경, 발간된다. 친일 관변단체와 친일파에 대한 내이 삭제 혹은 부가적 설명이 추가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독립운동가 개인약전의 내용 및 분량이 다소 조절될 것으로 보인다.고성문화원이 군비 2천만 원을 지원받아 2016년 3월 발간한 고성독립운동사는 고성군내 항일운동 기록을 담고 있다.
그러나 위안부와 물자공출, 보국대 선발 등을 담당했던 친일 성향의 관변단체와 친일인물에 대한 내용을 상세한 설명 없이 수록했다는 점과 고성에서도 2천500명이 참가했던 국채보상운동은 소개되지 않은 점 등으로 지난해 4월 논란이 됐다.
또한 항일운동의 업적을 인정받아 훈격을 받은 지사들의 공적보다 정부포상을 받지 않은 인물들의 개인약전 분량이 더 길고 상세해 형평성이 없다는 지적과 함께 ‘고성독립운동사’라는 제목은 자칫 고성이 다른 지역으로부터 독립하고자 했다는 의미로 오인받을 수 있다는 지적도 제시됐다.
이러한 문제가 불거지자 군민들은 군과 군의회에서도 일정 부분 책임이 있다며 이미 발간, 배포된 책자의 회수, 정확한 정보를 담은 개정판의 발간을 요청했다. 군과 군의회, 고성문화원 등에서는 책자의 정정사항을 담은 안내문을 배포처에 발송하는 등 진화에 나섰고, 향후 개정판 발간 시 지적내용에 대해 철저한 조사를 거쳐 수정보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당시 군 관계자는 “군민들은 물론 단체, 기관의 지적을 겸허히 수용해 앞으로 고성군에서 예산을 지원해 발행되는 지역 관련 책자는 철저한 검증과 자문을 거쳐 신중히 발행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고성문화원 도충홍 원장은 “발간 당시 확인되지 않아 수록되지 못한 고성지역 독립유공자 등 미흡한 부분은 향후 고성독립운동사 증보판 발간 시 보완할 것이며 군민과 독자들의 오해가 없도록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이후 군은 사료 검증, 자문 등의 비용을 포함해 올해 2천만 원의 당초예산 확보에 나섰고 제목을 ‘고성항일운동사’로 변경해 올해 중 개정판 1천 부를 발행하기로 했다. 군은 고성항일운동사 개정판 편찬위원회를 구성하고 현재 항일 독립운동 관련 자료 수집 및 추가 발굴을 진행 중이다.고성문화원 관계자는 “현재까지는 추가자료를 수집하고 있으며 아직까지는 작업이 완료되지 않았기 때문에 섣불리 말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전했다.고성군과 고성문화원은 오는 10월에서 11월 사이 관계기관과 학계 등에 자료 검증·자문을 거쳐 올해 중 보완된 개정판 ‘고성항일운동사’ 1천 부를 발간한다는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