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산업 피해지역인 고성군을 비롯한 창원시 진해구, 통영시, 거제시, 지원하기 위한 고용위기지역 지정 등 특별대책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경남도는 지난 23일 고용노동부에 신청한 4개 시·군 ‘고용위기지역’ 지정과 관련 고용노동부 민관 합동 조사단의 현지 실사가 28·29일 양일간 진행했다.현지실사는 지자체, 지역 고용센터, 경제단체 관계자, 조선업체·협력업체 노사관계자 등 간담회와 중심 상권 시찰 등으로 진행중이다.
고용위기지역으로 지정되면 최소 1년간 고용유지 특별 지원과 실업급여 60일 특별 연장, 일자리 관련 사업비 우선 지원, 중소기업 창업 및 진흥기금 우선 지원 등의 행·재정적 지원을 받게 된다.이날 산업통상자원부에 창원시, 거제시, 통영시, 고성군 지역에 대한 ‘산업위기 대응 특별지역 지정’ 신청도 마무리했다.‘산업위기 대응 특별지역’은 급격한 경제적 여건변동 등에 따라 특별한 조치가 필요한 경우 지정한다.
산업특화도, 지역 내 비중, 지역산업구조 다양성 조건 등 지정기준을 충족하는 지역이 지정대상이다. 지정기준이 충족되지 않아도 2개 이상의 산업 위기가 발생한 지역은 지정할 수 있다. 산업위기 대응 특별지역으로 지정되면 기업·소상공인 자금 지원, 연구개발, 사업화 지원, 재직근로자 교육지원, 실직자·퇴직자 고용안정 지원, 새로운 산업 육성을 위한 산업기반시설 확충 지원, 지역 상권 활성화 지원 등을 받을 수 있다.경남도는 “경남도 주력산업인 조선산업의 장기불황과 잇따른 한국GM 위기발생, 최근 중형조선소의 구조조정까지 겹쳐 경남 지역경제에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며 “도는 근로자들의 고용안정 등 경제 위기 극복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