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간 장소선정 등으로 난항을 겪어온 위기 여성 긴급 피난처가 올해부터 본격 운영된다.군은 가정폭력이나 데이트 폭력 등 범죄로 인해 피해를 입은 여성과 반자녀를 가해자로부터 분리해 보호할 수 있는 긴급 피난처를 운영한다고 밝혔다.군 관계자에 따르면 가정폭력방지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4조에 따라 가정폭력 여성 피해자 및 동반자녀들이 가해자로부터 긴급 피난할 수 있는 피난처가 고성읍 중앙로에 마련됐다.
피난처 운영에는 560만 원의 군비가 투입된다.가정폭력 등의 피해를 당한 여성이 상담이나 신고를 통해 시설을 이용하겠다는 의사를 전달하면 긴급 피난처 입소가 가능하다. 피난처의 특성상 위치는 비공개로 운영된다.가정폭력 등으로 인한 여성피해자는 최근 몇 년 사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고성가족상담소를 통한 가정폭력 상담건수는 2013년 159건이었으나 2014년에는 263건으로 급증했다.
2015년에는 조금 줄어든 229건이었던 가정폭력 신고건수는 2016년 274명으로 다시 늘어났다.그러나 피해자를 보호할 수 있는 긴급피난처 등은 마련되지 않아 피해자들은 숙박업소를 임시숙소로 사용하는 형편이었다.군 관계자는 “대부분의 가정폭력 사건에서 가해자는 남성, 피해자는 여성인 경우가 많은데 지역사회의 특성상 피해자가 가해자의 처벌을 원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면서 “피해자와 가해자의 분리가 시급했지만 직원이 상주하며 피해자를 보호할 수 있는 피난처가 없어 종종 분란이 일었던 것이 사실”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피난처 마련으로 피해자들의 불안은 물론 숙박업소를 임시숙소로 사용하며 겪는 2차적 피해 등에서 피해자들을 보호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이에 앞서 군은 지난해 12월 위기 여성 긴급 피난처를 마련했다. 이후 지난달 운영을 위한 보조금 신청 및 교부를 거쳐 근무자를 편성, 긴급 피난처 운영을 시작했다.
피난처에는 직원 3명이 비상대기자로 지정, 운영되며 법의 보호 아래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해 심신을 회복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전문가와 피해자의 1:1 상담을 통해 위기 여성과 동반자녀 삶의 진로를 설정하는 데 도움을 준다는 구상이다.군 관계자는 “피난처의 운영을 통해 위기여성과 동반자녀의 행복한 사회생활 복귀를 돕고 위기여성의 인권보호 및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한편 일부에서는 피해자가 피난처를 거쳐 단순히 가정생활로 복귀하는 것이 아니라 반복되는 가정폭력과 데이트폭력의 굴레에서 벗어날 수 있는 방법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