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는 치매가 개인이나 가정에서 감당하기 힘든 영역이라며 ‘치매국가책임제’ 공약을 시행하겠다고 밝히면서 고성군도 치매환자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다.이를 위해 정부는 현재 47곳인 치매지원센터를 252곳으로 늘리고, 치매 관련 건강보험의 본인 부담률을 10%까지 낮추겠다며 이달 말까지 종합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군은 현재 886명의 치매환자가 등록돼 있다.하지만 예산과 전문성 부족에 대한 우려도 나오고 있어 관계부처와 고성군의 치매환자에 대한 업무가 보다 체계적으로 마련돼야 한다는 여론이다.치매 환자 1명당 연 평균 2천만원이 넘는 비용이 든다는 분석도 있어 공공 보험이 90%를 지원할 경우 예산 수십조원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같은 치매국가책임제 시책이 발표되고 있지만 고성군은 치매환자 관리가 미흡하다는 지적이다. 군에 따르면 최근 5년간 가출한 치매환자는 32명에 달하며 이 가운데 9명이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올 4월경 회화면 소재 김모(80)씨가 집을 나간 오빠를 찾는다며 집을 나가 주민들의 신고로 파출소에 인계돼 귀가조치하는 등 치매환자 실종사건이 늘고 있다.
고성경찰서는 치매환자의 실종 예방을 위해 배회감지기 보급부터 우선 지원해 줄 것을 고성군에 요구하고 있다.고성군은 치매환자 886명중 배회감지기는 31대 보급률 3.49%에 불과하다. 더구나 치매환자 배회감지기가 목걸이형 구형으로 사용시간이 8시간에 불과해 불편해 실제 사용을 꺼리고 있다. 이에 지난해부터 보급된 손목형 신형배회감지기는 80시간이상 사용이 가능해 혹대보급이 시급한 실정이다.경찰은 남해군은 500만원을 함안군 1천600만원을 예산을 들여 배회감지기를 무상보급하고 있다며 고성군도 신형 손목시계형 배회감지기를 구입하여 치매환자를 신속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한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