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주)고성신문사 |
|
고성에 산재한 소가야문화유적이 발굴, 복원될 것으로 보인다.
군은 소가야문화 복원과 관련한 사업 계획서를 이달 초 경남도에 제출했다. 이 계획서에는 내산리 고분군, 동외동패총 등 이미 지정된 문화재는 물론 도로개설, 산업단지 조성 당시 발견된 남산 및 만림산 토성과 소가야 왕국의 실체를 발굴하고 복원한다는 계획이 담겨있다.
특히 지금까지 일반에 흔히 알려지지 않았던 소가야왕국의 실체를 발굴해 복원한다는 점에서 소가야의 역사성을 부각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군 관계자는 “정부의 공식적 발표대로 가야사 복원이 국정과제로 진행된다면 6가야 중 소가야였던 고성의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는 역사 복원의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보고 군에서도 중장기적 계획을 세운 상태”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에 따르면 군은 토지매입과 발굴조사, 복원 등의 과정을 위해 10년의 장기적 계획을 세워둔 상황이다. 송학동고분군 개발 당시 10년 이상의 시간이 걸린 점을 들어 군은 역사 및 문화의 발굴과 복원이 단기간에 종료되지 않기 때문에 이번 10년 계획 이후에도 장기적인 복원 계획을 수립, 진행할 계획이다.
군 관계자는 “지난해 고성이 가야문화권협의회에 가입하면서 이와 연계해 소가야 역사 발굴 및 복원을 진행할 생각이지만 대통령의 지시도 있고 이에 따라 도의 긴급회의 등도 마련되면서 구체적 지침이 내려올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정부와 군의 이러한 가야사 복원 계획에 대해 일부 군민들은 단순한 스토리텔링의 자원으로 활용할 것이 아니라 전문적인 연구팀을 꾸려 누구나 납득할 수 있는 연구결과를 내놔야 한다고 지적했다.
군민 김 모 씨는 “고성군민이면 누구나 알고 있는 것처럼 이미 군내 대부분의 고분 유물들이 이미 일제강점기에 도굴된 상황”이라면서 “유물 위주가 아닌 그간 미처 찾아내지 못한 유적을 중심으로 소가야의 실체에 대해 접근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홍 모 씨는 “그동안의 소가야 문화나 역사 등에 대해 군이나 문화원, 관련단체 등에서 연구를 진행했지만 큰 성과를 얻지 못한 것은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홍씨는 “이번 기회를 통해 고성군의 역사성과 정체성을 위해 소가야의 역사와 문화를 확실하게 검증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전문적인 연구와 발굴, 복원이 가능한 팀을 꾸리는 것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러한 지적에 대해 군 관계자는 “이번 소가야 역사 발굴, 복원 계획은 유물 발굴 위주가 아닌 역사적 유적지를 찾아내고 보존하는 것은 물론 필요 시 전문인력을 동원해 복원하는 과정을 모두 아우르고 있다”면서 “군내에 산재한 소가야 문화 유적지를 발굴하고 복원, 복구하는 전 과정에서 실체와 목적성을 확실히 갖고 접근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 가야사 복원 사업은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일 청와대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이를 언급, 지시하면서 탄력을 받았다. 이번 사업은 영호남에 걸쳐 수 세기간 발전한 가야문화의 복원을 통해 지역간 벽을 허물 기초사업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고성과 거창, 산청, 김해 등 경남 9개 지역, 경북 고령, 성주 등 3개 지역과 전북 남원, 장수, 전남 광양, 순천, 구례 등 전라남북도 5개 지역을 포함 총 17개 시․군에서는 ‘가야문화권 지역발전 시장․군수 협의회’를 구성해 가야 역사 복원과 문화사업 등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또한 지난 3월 개최된 월례회에서는 이번 가야사 복원 사업의 내용을 담은 대선 공약 공동건의문을 결정, 대선후보들에게 전달하기도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