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주)고성신문사 | 지난해 국정농단사태에 반발해 자유한국당을 탈당하여, 바른정당에 입당했던 이군현 현 국회의원이 통영 고성지구당 위원장 자리를 놓고 현 서필언 당협위원장 간에 불편한 동거가 이어지면서 당원들간에도 서먹한 분위기가 계속되고 있다.현재 도내에는 김재경(진주을)·여상규(사천남해하동)·이군현(통영고성) 의원 등 도내 국회의원 3명이 다시 한국당으로 돌아왔지만 그 사이 임명된 당협위원장(당원협의회 운영위원장)과 ‘한 지붕 두 가족’의 불편한 동거가 계속되고 있어 교통정리가 이뤄질지 주목된다.지난 1월 현역 국회의원 탈당으로 당협위원장 공석인 통영․고성지역에는 서필언 전 행정안전이 선출됐다. 내년 6월로 예정된 지방선거를 앞두고 현역 이군현 국회의원과 서필언 통영․고성당협위원장 측은 자신의 측근 정치인들을 전면에 내세워 선거를 치를 준비를 하고 있어 진통이 예상되고 있다. 시장 군수 공천권을 현당협위원장의 권한이 많기 때문에 서필언 현 당협위원장과 이군현 현 국회의원이 자리를 놓고 보이지 않는 힘겨루기가 예상된다.현재로선 오는 7월 3일로 예정된 자유한국당 전당대회를 통해 새 당 대표가 선출되면 이 문제가 공론화 될 것으로 보인다. 오는 7월 3일 전당대회에서 누가 당 대표에 선출되느냐가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새 지도부 구성 이후 지방선거에 대비한 조직정비 차원에서 당협위원장 문제가 자연스럽게 공론화될 것이란 관측이다.
서필언 현 당협위원장측은 “자유한국당을 떠나 다시 철새정치인 신세로 입당한 현 국회의원을 지구당위원장으로 선출하는 것은 용납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서 위원장은 “당협위원장 공모절차를 거쳐 선출되어 당협운영위원회에서 위원장으로 추인받았다. 통영․고성지역 당협위원장직을 충실히 수행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또 그는 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이 당대 당 통합일 경우 위원장 자리는 현역 국회의원이 우선권이 있는 것을 이해되지만 당을 탈당한 현 국회의원이 당협위원장 자리를 내 놓으라 하는 것은 맞지 않다고 말했다.자유한국당 고성지역 당원들도 “탈당한 현역의원이 다시 입당했다고 위원장 자리를 넘겨줘야 한다는 것은 이해 안 된다.
이군현 국회의원이 당을 떠날 때는 언제고 이제와서 당협위원장자리를 연연해서는 안 된다. 자숙하고 반성하는 자세를 보여야 한다”고 꼬집었다. 또 지난번 탈당하여 다시 입당한 도의원과 시의원 군의원들도 내년 지방선거 공천 때 패널티를 주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같은 진통이 예상됨에 따라 김성찬 경남도당위원장은 “당협위원장의 임기가 1년이기 때문에 현재 시군 당협위원장은 임기를 채우는 게 맞다”는 입장을 밝혔다.하지만 서필언 위원장은 “자유한국당 경남도당위원장 임기는 1년으로 돼 있기 때문에 다시 선출하지만 시군 당협위원장은 임기가 정해져 있지 않다. 현 당협위원장이 사퇴하거나 사고지구당일 경우에 한해 당협위원장을 새로 선출할 수 있다”고 반박했다.
서 위원장은 지난 1일 자유한국당 국회의원 당협위원장 당직자 연찬회에서도 이 같은 주장을 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들 모두 차기 총선 출마 등 정치에 뜻을 둔 인사들이어서 현역 국회의원과 양보할 수 없는 기싸움이 팽팽하다. 그렇다고 탈당했다가 복당한 현역 국회의원이 자리를 내놓으라고 요구하기도 어려운 현실이다.당협위원장은 지역 조직관리 등에 관한 권한이 있다. 특히 지방선거에서 광역․기초의원 공천권에 직․간접 영향력을 미칠 수 있다. 이는 곧 자신의 차기 국회의원 선거운동 조직이자 엄청난 우호 세력이다. 현재 대부분 선거구에서 국회의원이 당협위원장을 맡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