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고성수협 대회의실에서 고성그린파워어업피해대책위원회 발대식이 열렸다. |
ⓒ (주)고성신문사 |
| 고성그린파워어업피해대책위원회가 발대식을 갖고 어민들의 권익향상을 위해 힘을 모으기로 했다.고성그린파워어업피해대책위원회(이하 GGP대책위)는 지난 16일 고성수협 3층 대회의실에 김종철(얼굴 사진) 고성수협조합장과 황삼도 경남정치망수협조합장, 하이통발공동체 등 12개 어업단체, 서부지역 12개 어촌계 임원과 대의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발대식을 가졌다. GGP대책위는 고성그린파워에서 시행하는 고성하이화력발전소 건설사업 및 건설 이후 운영 가동에 따른 고성지역 어업피해보상에 관한 모든 업무를 어업인들로부터 위임받아 합리적이고 효율적으로 보상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구성됐다.
이날 발대식에서는 고성수협 김종철 조합장과 김광식, 구언회, 정영조, 최명규 공동위원장과 이종진, 박기출 감사를 선출했다. 김종철 공동위원장은 “문재인 대통령은 공약사항으로 현재 공사 중인 화력발전소 중 10% 이하 공정이 진행된 화력발전소는 원점에서 재검토하겠다고 했다”며 “고성하이화력발전소는 현재 공정률이 21% 가량 진행됐지만 향후 사업추진 여부는 불투명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김 공동위원장은 또 “하지만 오늘 구성된 GGP대책위는 지역 수산인의 어업피해의 최소화와 발전소 건립 가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각종 어업피해 보상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고성수협에서는 어업인들의 권익을 보호하고 편익을 위해 더욱더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GGP대책위는 향후 인근 시군의 수협을 중심으로 구성된 GGP대책위와 협의를 통해 앞으로 대책위 활동방향에 대해 논의해나갈 계획이다.고성그린파워 어업피해대책위가 발족되면서 어업인과 지역주민들은 그 역할에 기대를 걸고 있다.주민 조 모 씨는 “고성하이발전소가 지금 한창 건설 중인데 정상가동될 경우 주변 어업피해와 각종 미세먼지 등 환경피해도 우려된다. 따라서 앞으로 철저한 환경 감시와 조사 등을 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