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고성신문 | |
군 주선 간담회 소득 없이 끝나
.jpg)
세송농공단지 내 도장시설과 관련 사업자, 인근 마을 주민 대표자의 간담회가 열렸지만 서로의 입장차만을 확인한 채 별다른 소득 없이 끝을 맺었다.
용산 마을 주민들은 세송농공단지에 도장시설이 들어서는 데 반발해 150여 일째 천막농성을 벌이고 있다.
지난 26일 오후 거류면사무소에서 세송농공단지 인근 7개 마을 이장단과 세송농공단지 관련 사업자 5명의 간담회가 군의 주선으로 마련됐다.
군 관계자는 이날 간담회에 대해 “최근 세송 인근 마을에서 세송 대표자가 사업체를 다른 사람에게 매각한다는 소문이 있어 이 소문이 사실이 아님을 알리고, 과거 7개 마을 이장단과 세송 대표자 사이에 작성된 이행각서가 유효함을 확인하기 위한 자리”라고 밝혔다.
하지만 용산을 비롯한 인근마을 주민들은 “군이 주민들의 편에 서서 중재하지는 못할망정 세송의 입장을 공식적으로 밝히기 위한 자리를 만들어 주민대표들을 소집했다”며 크게 반발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지난 3월 세송 측과 “사업 시행 이후 주민들이 입게 되는 모든 피해에 대해 세송 측이 법적 책임을 질 것임을 약속”하는 이행각서를 작성한 바 있는 인근 7개 마을 대표자들도 “세송 측이 직접 도장시설을 운영하지 않고 외부 업체에 위탁할 계획으로 있어 세송 대표자와 작성한 이행각서의 이행 여부를 보장받을 수 없게 됐다”는 등 몇 가지 사유를 들어 이행각서는 무효라고 선언했다.
7개 마을 이장단은 “이행각서 작성 이전으로 돌아가 모든 협의를 용산 주민들의 편에서 다시 해 나가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는 세 명의 해당 지역 군의회의원이 참석했지만, 이들 역시 별다른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한 채 “지금 와서 사업을 취소할 수 없으니, 사업자와 주민들이 문제를 잘 풀어보라”는 의견을 내놓았다.
세송 사업자 측에서는 “이미 150억원 이상의 사업비를 투입했고, 그동안 용산 주민들이 도장시설 계획의 철회가 없이는 할 말도 없다는 입장을 밝혀 대화가 이뤄지지 못했다”며 “가까운 시일 내에 용산 마을을 방문해 주민들에게 도장시설이 인체에 큰 해가 없음을 설명하고 그동안의 일들에 대해서는 용서를 빌겠다”고 밝혔다.
사실상 도장시설 계획을 철회할 의사가 전혀 없음을 분명히 한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반면 용산 주민들은 “굳이 기업을 유치하려면 환경에 무해한 기업이어야 하며, 도장시설은 절대 용납할 수 없다”는 입장을 번복하지 않고 있어 이날의 간담회는 양측의 입장 차이만 확인한 채 소득 없이 끝났다.
다만 이날 세송 대표자가 “가까운 시일 내에 용산 주민들을 직접 만나도록 하겠다”고 공식적으로 약속함에 따라 업체와 주민들의 공식적인 만남을 통해 문제 해결의 실마리가 마련될 수 있을지 기대를 끌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