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독립운동사, 문화원 정정으로 바로잡는다
민족문제연구소 고성군에 고성독립운동사 폐기 요청
편집방향 잘못, 사료 왜곡, 자료조사 부실 등 이유
친일파 행적 중요하게 다뤘다면 폐기는 당연 주장
고성군, 내년 개정판 위한 예산 신청 계획
향후 고성 책자 철저히 검증, 자문 거칠 것
최민화 기자 / 입력 : 2017년 04월 14일
|
 |
|
↑↑ 지난 13일 민족문제연구소 진주지회 관계자들이 고성군청을 방문해 고성독립운동사 책자와 관련 수정 및 재발행 의견을 전달했다. |
ⓒ (주)고성신문사 |
| ‘고성독립운동사’ 책자와 관련해 고성문화원이 정정사항 안내장을 책자 배부처에 발송하는 등 적극적 대처에 나서 논란이 사그라질 것으로 보인다.
 | | | iv>고성문화원은 최근 고성독립운동사와 관련 고성군, 군의회와 협의해 정정사항을 담은 안내서를 배부처에 전하고 있다. 이는 지난 5일 군의회 월례회에서 협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한 안내서를 통해 “고성독립운동사의 고성지역 농민운동에 서술된 내용 중 농민저항운동과 무관한 농민단체 등이 아무런 설명 없이 서술됨으로써 독자들에게 오해의 소지가 있어 바로잡는다”고 밝혔다.
안내서에는 112페이지의 ‘다음으로 1930년대와 1940년대 고성군 농회의 조직과 구성원을 정리하였다. 먼저 1933년 고성군농회 조직은 아래와 같다’를 ‘다음으로 1930년대와 1940년대 고성군 농회의 조직과 구성원을 정리하였다. 먼저 1933년 고성군농회 조직은 아래와 같으며, 당시 고성군 농회와 고성군 미곡통제조합은 고성지역의 쌀, 보리, 콩 등을 수탈해 전쟁물자를 조달하는 데 앞장선 친일관변단체이나 고성 농민운동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해 기술하였다’로 바로잡고 113, 114페이지 하단 주석 참고문헌의 ‘경상남도직원록’을 ‘조선총독부경상남도직원록’으로 바로잡았다.
이번 고성독립운동사 논란과 관련해 독도사랑운동본부 추경화 씨와 민족문제연구소 진주지회 강호광 사무국장, 참환우리역사모임 서동욱 씨 등은 지난 13일 고성군청을 방문해 장찬호 문화체육과장과 박원철 계장에게 ‘고성독립운동사는 재발행돼야 한다’는 내용의 자료와 함께 의견을 전달했다.
이날 군청을 방문한 일행은 “이 책을 편집하는 시점에 국채보상운동과 같은 중요한 활동을 한 독립운동가들이 추가로 발굴되었음에도 그들을 책에 포함시키지 않은 점은 잘못됐다”면서 “독립운동사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뤄야할 내용은 독립운동이지 친일파들의 행적이 아니며 독립운동사의 편집방향이 친일파의 행적을 독립운동가보다 더 중요하게 다뤘다면 폐기되는 것이 당연하다”고 말했다.
뿐만 아니라 “국권보상운동 관련 독립유공자들이 심사 중인데도 몰랐다”면서 “3월 30일 고성문화원 도충홍 원장은 후손과 연락이 닿지 않는 공적자에 대해서는 불가피하게 원고 분량이 적을 수밖에 없었다고 밝혔으나 고성군과 국가보훈처에 연락처가 있는 그 많은 후손들과 2년간이나 연락이 닿지 않았다”고 했다.
이어 “논란 과정에서 책에 수록된 생계형 공무원들을 모두 친일이라 단정하는 것이 지나치다고 했는데 이런 사고방식은 매우 위험하고 우려스러운 일”이라면서 “일제의 총칼에 위협받아 어쩔 수 없이 소녀들을 위안부 보내고 이웃을 징용 보낸 게 아니라 먹고 사는 자신의 일로 이웃과 민족을 못 살게 했다. 다만 그 죄질이 크지 않을 뿐”이라고 밝혔다.
또한 “착각해서는 안 된다”며 “친일은 친일”이라고 못 박았다.민족문제연구소 진주지회는 “이번 고성군청 방문은 ‘고성독립운동사’ 책자가 전반적으로 잘못됐으니 오류가 있는 부분과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을 다시 안내하고, 증보판을 발행할 때 수정해줄 것과 개정판 발행을 서둘러줄 것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민족문제연구소는 이번 고성독립운동사 논란을 두고 별도 의견서를 군에 보내 “고성지역 독립운동사에 관심을 가지고 이를 책으로 엮은 고성문화원의 노력에 박수를 보낸다”고 말했다.
그러나 “개인약전에서 공훈록을 그대로 옮겨온 경우가 보통이지만 어떤 인물의 경우는 공훈록을 요약하기도 했고 또 한편으로는 필자가 취재한 내용을 자세하게 수록한 경우도 있으며 독립유공자는 아니지만 관련 증인을 취재해 독립운동 활동을 자세히 실은 인물도 있다”면서 일관성의 결여를 지적했다.
민족문제연구소는 의견서를 통해 “고성문화원이 당당히 밝힌 책의 편집방향은 실은 그렇게 당당하게 주장할 성격은 아니며 그 자체로 공공성, 공정성을 담보하지 못한 편집방향”이라며 “특정인물, 집안, 가문, 단체 등의 공적을 널리 알리기 위한 책이 아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또한 “농회, 미곡통제조합 등 일제가 효율적인 식민통치를 위해 치한 관변조직·단체를 식민통치에 저항한 농민운동의 범주에 넣어 설명하는 것은 역사적 사실을 잘못 이해했거나 역사를 왜곡한 것”이라며 “정확한 역사적 사실을 제시하고 정당한 평가를 받도록 해야 하며 역사적 평가를 호도한다는 의심을 사서는 안 될 것”이라고 말했다.
고성군 문화체육과 장찬호 과장은 “전체 환수 및 폐기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지만 배부처에 고성문화원 정정사항을 적극 안내하는 등을 통해 혼란을 최소화할 것이며 고성독립운동사의 개정판 발행을 위해 내년 당초예산에 사료 검증과 자문 등의 예산을 포함 관련 예산을 올릴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한 장 과장은 “군민들은 물론 단체, 기관의 지적을 겸허히 수용해 앞으로 고성군에서 예산을 지원해 발행되는 지역 관련 책자는 철저한 검증과 자문을 거쳐 신중히 발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고성문화원 도충홍 원장은 “발간 당시 확인되지 않아 수록되지 못한 고성지역 독립유공자 등 미흡한 부분은 향후 고성독립운동사 증보판 발간 시 보완할 것이며 군민과 독자들의 오해가 없도록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