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주)고성신문사 | 고성군의회가 정부의 바다모래 채취 기한연장에 대해 강력하게 반대하고 나섰다.
고성군의회는 지난 12일 제225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서 바다모래 채취 기간 장 반대 건의안을 채택했다.
고성군의회 11명의 의원을 대표해 제안 설명에 나선 박덕해 의원은 “어업생산량 감소에 따른 어업인 및 수산산업 종사자들이 겪고 있는 많은 어려움과 목소리 높여 외치는 주장에 전적으로 동의한다”며 “어떠한 경우에도 바다모래 채취를 위한 기간연장에 강력히 반대한다”고 밝혔다.
의회는 “지난해 연근해어업 생산량이 92만 톤에 그치며 44년 만에 처음으로 100만 톤 선이 붕괴됐다”며 “수산산업의 위기는 어업 생산량만 봐도 알 수 있다. 이로 인해 어업인의 삶의 기반은 송두리째 흔들리고 있는 실정”이라고 밝혔다.
또 “어업생산량의 감소는 기후변화와 환경오염이 주요원인이라고는 하지만 바다모래 채취에 따른 각종 수산 동식물의 산란과 생육, 그리고 서식 등 해양환경과 수산자원에 대해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지 않고 무분별하게 이루어지는데 더 큰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정부가 4대강을 준설해 확보한 모래가 엄청나게 많이 쌓여 있는데도 많은 비용이 든다는 이유로 값싼 바다모래만을 고집하고 있는 안타까운 현실에 직면하고 있다”며 “자연 파괴로 인한 피해는 고스란히 우리들의 몫이 될 것이며, 많은 이유가 있겠지만 바다는 바다로서의 기능과 역할을 할 때 그 존재 가치가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의회는 “고성군은 14개 읍면 중 절반인 1읍 7면이 바다와 접하고 있고 청정바다는 고성의 생명수이며 풍부한 수산물은 군 산업의 큰 축을 이루고 있다”며 “하지만 갈수록 줄어드는 어획량으로 올해도 어업을 포기할 수밖에 없는 절박한 상황에 놓여 있다”고 했다.
또 “이처럼 어족자원의 고갈로 어업인과 수산계가 생존위기에 놓여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외면한 채 바다모래 채취를 연장하는 것은 어민을 벼랑 끝으로 내모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의회는 “분노에 찬 어업인 및 수산산업종사자들과 군민의 뜻을 모아 바다모래 채취 기간 연장에 강력히 반대한다”며 “기간연장 철회조치는 물론 다시는 이런 일이 재발되지 않도록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하여 주실 것”을 건의했다.
고성군의회는 이날 채택된 건의안을 집행부를 비롯한 관계기관에 송부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