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주)고성신문사 |
| 조선해양산업특구의 전체 면적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양촌·용정지구의 특구기간이 지난해 연장된 이후 1년이 흘렀지만 아직까지 후속 사업자를 찾지 못해 여전 답보상태에 머물러 있다.
양촌․용정지구는 2007년 특구 지정 이후 (주)삼호조선이 특화사업자로 선정돼 동해면 양촌․용정리 산9-1번지 일원 192만492㎡에 사업비 4천300억 원을 들여서 중·대형 특수선박 건조 등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었다.
이후 2008년 공유수면매립 면허승인을 받아 실시계획 승인 및 착공, 매정마을 육상환경 피해보상 등 사업을 추진했지만 조선경기의 지속적인 불황과 사업자의 자금난 등으로 인해 부도를 맞아 사업부지는 지난 2013년 10월 31일 법원 경매에 의해 부산은행에 매각됐다.
당시 부산은행은 (주)삼호조선 대출금 회수를 위해 양촌․용정지구를 매입하고 제3의 사업자를 선정하여 매각키로 했지만 매수자가 없어 현재까지 답보상태에 있다.
군은 지난해 양촌․용정지구의 특구기한이 2015년까지 만료됨에 따라 주민공청회와 고성군의회의 의견을 수렴하고 중소기업청의 지역특화 발전특구위원회에 특구기한연장을 신청해 2018년까지 특구기간을 연장했다.
이후 토지소유권자인 부산은행과 특구 개발권자인 삼호조선, 고성군도 제3의 사업자 물색에 나서고 있지만 특구기간연장 이후 1년이 지난 지금에도 후속사업자를 선정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군 관계자는 “특구기간연장 이후 여러 업체로부터 문의는 들어오고 있지만 워낙 조선경기가 좋지 않다보니 계약이 성사되지는 않고 있다”며 “부산은행에서도 여러 방면으로 후속사업자선정을 위해 노력은 하고 있고 군에서도 문의가 들어오면 안내를 해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양촌․용정지구가 답보상태로 머물러 있자 일부에서는 조선업 외에 다른 사업을 유치하자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하지만 해당 지구는 조선해양산업특구로 지정되어 있어 특구가 해제되지 않는 이상 조선관련 산업 외에는 다른 산업을 유치할 수 없는 실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