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내 등록장애인이 4천600명에 달하지만 이 중 직업을 갖고 경제활동을 하고 있는 숫자조차 파악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애인들의 직업육이 전무한 데다 일자리 지원 등이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지난해 11월 말 현재 고성군내 등록장애인은 4천605명으로, 고성군 전체 인구 5만4천715명 대비 8.42%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 중 1~3급의 중증 장애인은 1천23명이며, 1급은 308명, 2급은 672명, 3급은 869명이며 3급으로 등록된 장애인 중 중복 등록된 인원은 43명이다. 또한 4급 740명, 5급은 1천11명, 6급은 1천5명으로 나타났다.
신 모 씨는 “장애가 있다고 해도 경미하기 때문에 충분히 근로능력이 있지만 적은 금액이라도 수입이 있으면 수급을 받지 못할까 봐 일하지 못하기도 하고, 가끔 생활비가 부족할 때도 특별한 기술이 없어 막노동조차 제대로 구하지 못할 때가 있다”며 “공공근로에 참여하고 싶어도 군 전체에 40명도 안 되는 인원이 참여하니 기회가 돌아오기 쉽지 않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허 모 씨는 “다른 지역에서는 장애인들의 직업 교육, 재활 교육 등을 통해 장애인들의 경제활동을 지원하는데 고성군에서는 4천 명이 넘는 장애인들의 숫자에도 불구하고 경제활동과 관련된 지원보다 정부나 도의 지침을 통한 복지사업만 지원하는 것에 그친다”며 “전문성 있는 일자리는 바라지도 않으니 장애인도 고성군민으로서 경제활동을 할 수 있는 기회라도 얻을 수 있으면 좋겠다”고 토로했다. 그러나 군은 공공근로사업에 참여하는 38명을 제외하면 나머지 4천500명 이상 장애인들의 경제활동 여부를 전혀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업교육 등은 현재까지 이뤄지지 않고 있어 장애인들의 경제활동 발판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군 관계자는 “공공근로사업을 통해 일부 인원은 읍면 및 사회복지시설에서 행정보조업무, 시간제 환경도우미, 주차단속 등의 일자리사업에 참여하고 있다”며 “1~3등급 중증장애인을 우선으로 하고 있는 데다 희망자는 많지만 일자리는 한정돼있어 신규 신청자들이 있어도 모두에게 일자리를 줄 수가 없는 것이 사실”이라고 밝혔다.이 관계자는 “우리 군에서 몇 천만 원을 더 지원해 일자리를 늘리기는 한계가 있고, 이렇게 일자리를 지원하는 사업 자체가 한시적이라 군에서도 대책을 마련하고자 하지만 일자리사업 등을 지자체 차원에서 확대하기에는 역량이 부족하기 때문에 국가적 사업에 반영해야 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에 따르면 최근 바리스타 등의 직업교육 수요가 많았지만 교육 이수 후 지원하거나 입사할 수 있는 일자리가 많지 않아 기술을 배워도 사장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직업교육과 일자리 지원 등은 여러 기관과 사업체 등과 연계가 필요해 당장 사업 신설, 확대가 쉽지 않아 방안을 모색하고 있는 상황이다.군 관계자는 “지체장애인들은 신체가 조금 불편할 뿐 일자리를 제공하면 근로능력은 충분하고, 업무수행이 얼마든지 가능하기 때문에 기업체와 연계해 일자리를 제공하는 방안을 찾는 중”이라며 “직업 훈련을 거쳐 장기적으로 취업할 수 있는 도, 국가적 차원의 정책이 하반기 중 나올 것으로 예상되며 정책이 마련되면 군내 장애인들을 위한 일자리도 늘어나지 않을까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