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충북 보은과 전북 정읍지역에서 구제역이 발생한 가운데 구제역 백신접종의 허술한 사후관리가 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군은 올해부터는 구제역 백신접종 점검반을 구성해 소 50마리, 돼지 1천 마리 이상 자가 접종을 하는 농가를 대상으로 점검반의 입회하에 백신을 접종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7일 구제역 확진판정이 나온 전북 정읍의 농장에서 키우는 소 20마리를 검사한 결과 한 마리에서만 구제역 항체가 발견됐다고 밝혔다.
이는 정부가 소의 구제역 항체 형성률이 95.6%라고 밝힌데 반해 이번에 구제역이 발생한 농장의 경우 5%에 불과해 구제역 백신접종의 허술한 사후관리의 문제점이 드러난 것이다. 확진판정이 나온 충북 보은의 농장과 인접한 농가 두 곳에서 젖소 20마리를 검사한 결과에서도 6마리에서만 항체가 나온 것으로 밝혀졌다.
소의 항체 형성률이 서류상 수치인 95.6%보다 훨씬 낮은 이유는 백신 접종이 축산 농가에 맡겨져 있고, 방역당국의 사후 점검도 부실해 서류상 수치와 실제 백신 접종률 간에 큰 차이가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현재 방역 당국은 전국 소 사육농가의 10%를 표본으로 뽑고 표본농가당 소 1마리에 대해서만 구제역 항체형성여부를 확인하고 있다.
표본에서 제외된 나머지 90% 농가에 대해서는 백신을 맞았는지 여부조차 확인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그동안 구제역 발생 빈도가 높았던 돼지에 대해서는 모든 농가에서 매년 검사를 실시했지만 소는 허술하게 관리하다가 이번 구제역발생의 원인이 됐다는 분석이다.
또한 살처분한 소·돼지에 대해 시가의 80%를 보상해주는 보상제도도 축산농가가 백신접종을 소홀히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고성군에서는 올해 구제역 백신지원 사업으로 약 3억1천100만 원을 들여 소·돼지 26만7천 마리에 대해 접종을 실시할 계획이다.
군 관계자는 “백신접종 문제가 논란이 되면서 고성군에서는 점검반을 구성해 자가 접종 대상 농가에서 백신을 접종할 때 점검반이 입회를 하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면서 “이를 통해 백신접종에 대한 사후관리도 철저히 해 고성에서는 구제역이 발생되지 않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