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주)고성신문사 | 존경하는 350만 도민 여러분, 반갑습니다.
태고의 신비가 살아 숨쉬는 공룡나라, 항공․조선산업 략적 요충지로 자리매김하는 고성군 출신 제정훈 의원입니다.
저는 오늘 조선산업의 미래 신성장 동력으로 대두되는 LNG연료추진 선박 및 LNG벙커링산업 육성의 시급성에 대해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현재 국제해사기구(IMO)는 환경문제 해결을 위해 국제협약에 따라 선박의 배출가스규제 강화와 친환경선박 설계를 의무화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IMO산하 해양환경보호위원회(MEPC)는 지난 10월29일, 영국 런던 제70차 총회에서 지난 몆 년간 논의 되어온 선박연료 황산화물(SOX) 규제의 시작을 2020년으로 확정함에 따라, 전 세계 5천톤급 이상 모든 선박연료는 황 함유량을 기존 3.5%에서 0.5% 이내로 제한을 받게 됩니다.
따라서 세계 2만 6천여 척에 달하는 주요 상선은 모두 신조선으로 대체예고로, 해운업계의 저유황 연료유 및 LNG연료 사용을 위한 선박발주가 촉박한 상황입니다.
이러한 배출가스 규제 강화 기준을 맞추기 위해서 운항선박은 현재 선박연료로 사용되는 벙커-C유, 경유 대신 친환경 연료인 LNG를 연료로 사용하는 선박으로 대체됨에 따라, 노르웨이선급 및 로이드선급에서는 2025년까지 LNG연료추진선 발주 및 기존 선박의 LNG연료추진선 개조시장이 148조원 규모로 확대되고, LNG연료 공급을 위한 LNG벙커링산업 규모를 31조 원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 국제해사기구(IMO) 선박 배출규제
○ 황산화물(SOX) 함유량 : 15년 1월부터 1.0% → 0.1%로 강화(기존선박 적용), ECA(미국 연안, 발틱해, 북해)외 지역(우리나라 포함)은 ’20년부터 SOX 규제 적용 (3.5% → 0.5%)
○ 질소산화물(NOX) 배출량 : 16년 1월부터 14.4g/kwh → 3.4g/kwh로 강화(신조선박 적용), ECA 외 지역은 14.4g/kwh※ LNG벙커링 : LNG연료를 선박에 공급하는 행위이처럼 LNG연료추진선박 및 LNG벙커링산업은 LNG선박 건조기술에서 우위에 있는 우리 조선산업의 블루오션이 될 것입니다.
하지만 세계는 관련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치열한 각축전이 벌어지고 있는 상황으로 대처가 늦어지면 국내 조선산업은 또 한번 큰 위기를 맞이할 수 있습니다.
ECA(배출가스규제해역)지역인 북해, 발트해 및 북미지역을 중심으로 LNG벙커링 기반시설을 구축하고 있고, 노르웨이, 스웨덴, 프랑스 및 캐나다는 현재 기반시설을 건립 중입니다.
중국은 양쯔강 주변에 LNG벙커링 스테이션을 운영 중에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LNG벙커링 터미널 계획 단계는 35개 이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한국가스공사에서 통영 LNG인수기지 내에 LNG 벙커링 터미널을 구축하기 위해 현재 설계 중으로 2018년 완공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이에 정부가 2015년 7월 ‘LNG연료추진선박산업 활성화 방안’을 수립, 지난 11월16일 산업부와 해수부 공동으로 ‘LNG추진선박 연관 산업 육성방안’을 수립하여 대형 LNG추진선 건조시장 수주율을 2025년까지 70%로 높이고, LNG벙커링이 가능한 항만을 5개로 늘리는 육성계획을 발표한 바 있습니다.
경남도 또한, 조선산업의 미래 신성장 동력으로 대두되는 LNG연료추진선박 및 LNG벙커링산업 육성을 위한 기본계획수립을 위해 2017년에 LNG클러스터 구축 타당성 연구용역을 시행하는 등 관련 인프라구축에도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본 의원은 LNG연료추진선박 및 LNG벙커링과 관련된 산업 기반 구축은 가장 우수한 입지여건을 가진 경남도가 선도적으로 주도하여 추진해야 한다고 봅니다.
경남은 LNG연료를 공급받을 수 있는 국내 최대의 통영LNG인수기지가 있고, 인근에 LNG연료 공급 수요처인 부산신항간 해상을 통한 대량 운송의 우수한 접근성을 확보하고 있으며, 도내에 LNG선 건조를 주력으로 하는 대형조선소(대우조선, 삼성중공업)가 위치하며, 모듈단위(대형구조물)로 생산된 LNG벙커링 기자재의 해상운송의 용이성 등 지리적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경남도가 계획하는 LNG클러스터 구축사업 입지로는 고성을 비롯한 통영, 거제지역이 산업 인프라 구축에 최적의 입지라 생각하며, LNG벙커링 등 관련산업 육성이 현재의 조선산업 위기극복을 위한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이에 본 의원은 지사님을 비롯한 집행부에 LNG 친환경선박과 LNG벙커링 산업의 세계시장 선점을 위한 관련 기술개발과 인프라 구축 등에 각별한 관심과 지원을 당부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