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주)고성신문사 |
| 고성군에서 2015년에 이어 지난해에도 오리농가에서 AI가 발생함에 따라 작목전환 등의 대책을 마련해야 다는 여론이다.
군은 지난달 26일 마암면 두호리 한 오리농장에서 AI가 발생돼 해당 농가와 인근 농장에서 사육 중이던 오리 4만3천200마리를 살처분하고 보호지역 104농가에서 사육 중이던 닭 1만7천734마리도 수매를 통해 예방적 살처분하는 등 총 110농가에 6만934마리를 살처분·매몰 처리했다.
또한 AI 방역을 위해 공무원 20명, 민간인 15명, 군인 12명 등을 동원해 소독·통제시설 8개소를 운영하고, 예찰지역(10㎞ 내) 가금류 이동금지, 군내 전 지역 예방방역강화, 살처분 사후관리 조치를 하는 등 AI 확산방지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다.
군은 AI방역추진 사항에 대해 지난 4일 고성군의회 월례회에서 보고했다.
박용삼 의원은 “고성에서 2015년 거류면 한 오리농가에서 AI가 발생한 이후 지난달 또 다시 마암면 오리농가에서 AI가 발생했다”면서 “이에 따라 인근 산란계와 육계 등 가금류 농가에서는 막대한 피해를 입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정확한 역학조사를 통해 AI 발생 원인을 분석하고 AI가 발생되지 않도록 예방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강영봉 의원은 “해마다 AI로 인해 공무원들을 비롯한 많은 사람들이 고생을 하고 있고 불필요한 많은 예산이 소요되고 있다”면서 “처음 AI가 발생했을 때에도 고성에서는 오리를 사육하지 않도록 하자고 했지만 다시 사육을 하면서 또 다시 AI가 발생되는 피해를 입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수십억 원을 들여 공룡엑스포를 개최해 고성을 홍보하고 있지만 AI 때문에 고성의 이미지가 훼손되고 있다”면서 “이번 기회를 통해 AI로 인한 피해를 군민들에게 알리고 여론을 수렴해 고성에서는 오리를 사육하지 않는 방안을 검토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또 “필요시에는 의원발의를 통해 고성군에서는 오리를 사육하지 못하도록 조례를 제정할 필요도 있다”고 의견을 제시했다.
공점식 의원도 “처음 AI 발생 이후 오리농가 중 고성군의 지원을 받아 작목전환을 하려다 시기를 놓쳐 지원금을 받지 못하는 일이 있었다”면서 “군에서 오리농가가 작목을 전환할 수 있도록 유도를 하고 농가에 적극적으로 지원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군 관계자는 “이번에 발생한 AI는 농장 인근 간사지와 농지에 철새들이 많아 AI가 유입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면서 “하지만 AI의 특성상 어디에서 유입됐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또 “오리농가에 대해서는 작목전환과 AI가 발생되는 시기인 겨울철에는 휴업을 하는 등의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면서 “향후 오리농가들과 간담회를 통해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