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축산과
|
 |
|
ⓒ (주)고성신문사 |
|
|
 |
|
ⓒ (주)고성신문사 |
|
▲박용삼 의원= 전국적으로 AI확산되고 있다. 지난해 고성에서도 AI가 발생돼 21억 원의 예산이 소요됐다. 광역방제기를 활용해 축산농가 소독하고 확산방지에 노력하라.동물화장장이 들어설 경우 동물 사체 이동과정에서 전염병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동물화장장이 들어서지 않도록 하라.과거에 군에서 한결 한우 브랜드를 개발하고자 지원하다 군비만 소진하고 브랜드로 만들지 못했다. 현재 추진 중인 한우 브랜드가 고성한우브랜드가 정착될 수 있도록 노력하라.
△이문찬 과장= 군에 용도변경 신청이 들어온 상태로 이동과정에서 각종 전염병을 동반할 수 있어 반대 입장이다.
▲강영봉 의원= 지난해 오리농가에서 AI발생으로 인해 공무원들이 고생했다. AI가 발생한 전라도에서 오리가 들어오고 있다. 관리감독을 철저히 하라.축산분야에서 가장문제가 되는 것이 악취다. 지금 조금씩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느껴진다. 저감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라.
△이문찬 과장= 오리농가 중 3농가는 작목전환을, 2농가는 사육을 하지 않고 있다. 현재 6농가에서 오리를 사육하고 있다.
▲정도범 의원= 축사시설현대화사업에 1억8천400만 원이 집행이 되지 않고 있다. 많은 예산이 남았을 경우에는 추경에 가용예산으로 활용하라. 축산분뇨전자인계시스템이 내년부터 의무화되는데 운영되는데는 문제가 없나. 고성의 우량 송아지가 외부로 빠져나가고 있다. 앞으로 우량 송아지가 고성에서 사육돼 상품화될 수 있도록 하라. 고성한우브랜드를 일원화시켜 으뜸한우로 만들어 나가야 한다.
△이문찬 과장= 축사시설현대화사업은 완공단계에 있고 명시이월사업은 구만면에서 민원 발생으로 인해 사업추진에 어려움이 있다. 축산분뇨전자인계시스템 운영에는 문제가 없다.
▲이쌍자 의원= 한우농가의 조사료를 수입에 의존하는 비율이 많다. 고품질의 조사료 개발을 통해 고품질의 한우를 생산하는데 노력하라.
▲최상림 의원= 사료효율이 가장 떨어지는 축종이 한우다. 한우산업은 우량송아지를 사육해 사료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경쟁력을 갖는 것이다. 한우에 지원한 예산에 대해 성과를 분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AI가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독수리 먹이를 주는 일이 없도록 하라.
▲김상준 의원= 고성군의 한우가 1만5천 마리가 사육되고 있다. 인공수정료를 지원해주고 있다. 더 많은 예산확보를 통해 축산농가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사업을 추진하라.
▲공점식 의원= 고성군에서 축산농가에 방역을 해주는 것도 좋지만 축산농가에서도 자가 방역을 하도록 하라. 고성에서 전염병이 발생돼 매몰처리를 할 때를 대비해 미리 매몰 장소를 확보해야 한다.
▲박덕해 의원= 우유를 학생들을 대상으로 공급을 하고 있지만 먹지 않는 학생들도 있다. 이왕이면 학생들이 많이 먹는 딸기우유 등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라. 낙농가에서 착유시설을 세척하면서 그 물이 하천으로 흘러가는 등의 민원이 발생된 사례가 있다. 조치하라.
△이문찬 과장= 우유소비촉진의 차원에서 우유를 공급하고 있다. 검토하겠다. 세척수를 정화하는 시설을 지원할 계획이다.
▲최을석 의원= 농업인의 날 행사에서 양계협회에서 닭고기와 달걀을 시식지원을 했다. 축산농가에서 지역에서 벌인 돈으로 지역민에게 환원하는 모습이 보기 좋았다. AI가 고성에서 발생하면 다른 축산물에도 영향을 받는다. 고성에 오리농가가 몇 개소가 되지 않는데 이 농가 때문에 피해를 입지 않도록 해야 한다. 자체단체장의 승인을 받아 오리를 사육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 바란다. 오리농가는 다른 축종이나 작목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마련하라.
△이문찬 과장= 오리사육과 관련해서는 법률적인 검토를 해보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