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잇따라 지진이 발생하고 있지만 군내 이재민 임시주거시설의 내진설계 적용률은 50%에도 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불안을 더하고 있다.
지난 3일 오후 11시 39분 경남 함안 북동쪽 9㎞ 지점에서 규모 2.6의 지진이 발생함에 따라 경남 지역도 지진 안전지대는 아니라는 분석이다. 군은 학교 운동장과 체육공원 등 운동시설을 지진대피장소로 지정, 약 9만700명을 동시 수용할 수 있도록 하고 군청과 각 읍면사무소 홈페이지를 통해 공지하고 있다.
그러나 지진대피장소가 지정된 지 이제 한 달 남짓밖에 되지 않아 제대로 알려지지 않은 상황이다. 뿐만 아니라 재해 발생 시 이재민을 수용하는 임시주거시설의 내진설계적용시설은 50%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더구나 지진 발생 시 환자들의 안전이 보장돼야 할 병원시설물 중 내진설계가 적용된 곳은 단 한 곳도 없는 실정이라 지진 발생 시 대규모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오 모 씨는 “이미 인터넷이나 뉴스 등을 통해 지진대피장소가 인근 공터임을 파악한 상태에서 뒤늦게 군청이 공지하는 것은 뒷북행정”이라며 “지진대피장소이기도 하고 이재민 임시주거시설이기도 한 학교의 내진설계율이 22% 정도라고 하니 아이들의 안전을 담보로 수업을 하고 있다는 생각은 물론 비상상황 발생 시 과연 학교로 대피해도 될지 불안하다”고 말했다.
오 씨는 “임시주거시설은 지진만이 아니라 태풍이나 홍수 등 자연재해, 화재 등으로 인한 이재민들을 모두 수용할 수 있는 시설인데 내진설계가 돼있는 곳이 절반도 안 된다니 어떻게 믿고 이용할 수 있겠느냐”며 개선을 요구했다.
고성군청 안전건설과 관계자는 “지진대피장소가 경주 지진 이후 지정된 지 이제 한 달 정도 됐기 때문에 홍보가 안 된 것은 사실”이라면서 “현재 군내에는 각 읍면에 소재한 학교 운동장을 지진대피장소로 지정하고, 각 마을의 학교와 경로당, 국민체육센터 등 58개 시설물에 약 8천 명을 수용할 수 있도록 준비해두고 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임시주거시설물의 내진설계 적용률이 낮아 계속 보강해나갈 계획”이라면서 “문제가 발생했을 때 지진으로 인해 임시주거시설에 영향이 있다면 폐쇄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며, 일단 지진이 발생하면 안전 여부를 판단한 후 시설에 이재민을 배치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군내 병원 3개소는 내진보강대상 공공시설물이지만 군 자체 예산만으로는 공사를 완료할 수 없기 때문에 차후 연차별 계획을 수립하고 있으며, 병원 특성 상 조금 더 앞당겨 보강공사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기상청 지진화산감시센터에 따르면 지난 2000년 이후 경남지역이 진앙지였던 지진은 총 44건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규모가 컸던 지진은 2005년 6월 29일 통영 매물도 동남동쪽 46㎞ 지점 해역에서 발생한 규모 4.0의 지진이었다. 내륙이 진앙지였던 지진 중에서는 2013년 2월 5일, 거창군 북북동쪽 11㎞지점에서 발생한 3.5 규모의 지진이 가장 강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최근에는 함안 북동쪽 9㎞ 지점에서 지난 3일 2.6 규모의 지진이 발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