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군은 지난 7일 회화면 어선마을회관 옆 수매장에서 2016년산 공공비축미곡 첫 포대벼 매입을 시작했다.
군은 수매 첫날 어선마을과 산북마을, 석전마 을회관 옆 수매장에서 3천66포대를 수매를 했으며, 오는 12월 23일까지 읍면별 지정검사장소에서 진행할 예정이다.
2016년산 공공비축미곡 매입량은 40kg 기준 30만7천420포대로 이는 2015년 30만3천97포대에 비해 약 10% 증가된 물량이다.
또한 고성군 전체 벼 생산량의 31%를 차지하며, 경남도 전체물량의 10.2%를 차지한다.
매입품종은 영호진미와 새일미로 군은 포대벼 19만2천621포대와 톤백벼 8만960포대를 함께 매입한다.
군은 건조하지 않은 산물벼 3만3천839포대도 지난달 17일부터 수매하고 있다.
포대벼 매입가격은 40kg 기준 특등 4만6천480원, 1등 4만5천 원, 2등 4만3천 원, 3등 3만8천270원을 우선 지급한 후 10월~12월 전국 평균 산지쌀값에 따라 공공비축미곡 매입가를 확정한 후 내년 1월 중 정산한다.
첫 수매현장에는 이정곤 부군수를 비롯한 고성군의회 황보길 의장, 박용삼 총무위원장, 최상림 산업건설의원장 등이 참석해 농민들을 격려하고 민생현장을 살폈다.
이정곤 부군수는 “공공비축미곡매입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품종별 구분 적재, 매입 품종 외 타 품종 출하 금지, 출하 조제·정선과 수분 함량(13~15%) 준수, 우천 대비 깔판 및 비닐을 준비할 것”을 당부했다.
한편 올해 벼 생산량은 평년 수준이지만 쌀 가격하락으로 인해 농민들의 한숨은 깊어지고 있다.
/ 전공식 시민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