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경남도가 고성군에 드론전용단지를 조성하기로 하고 국토부에 사업을 신청할 예정이다.(사진은 최근 고성에서 가진 농업용 드론으로 농약을 살포하는 모습) |
| 고성군은 460억 원을 투입, 오는 2020년까지 차세대 고부가가치 산업인 드론 전용 산업단지를 조성한다고 밝혔다.
이날 고성군에 따르면 하늘의 산업혁명으로 불리는 차세대 고부가가치 산업인 드론 전용 산 단지를 동해면 일대에 조성한다. 드론 산단 조성에는 국비 60억 원, 지방비 180억 원, 민자 220억 원 등 모두 460억 원이 투입된다.38만여㎡ 규모인 드론 전용 산단에는 길이 700m, 폭 30m 규모의 드론 시험비행용 활주로와 격납고 등이 들어선다.
또한 드론 생산을 위한 각종 설비와 드론 보관과 수리, 교육 훈련, 운항 안전시험 등을 위한 시설도 들어선다.
고성군은 경남도와 함께 이르면 이달 중 드론 시범사업 지정을 국토부에 신청할 방침이다.
군은 내년 1월 국토부와 항공안전기술원이 참여하는 드론시범사업 협약을 체결하는 등 산단 조성에 나선다.
고성군 관계자는 “드론 산단이 조성되면 고용 창출 등 지역 경제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한편 고성군은 인근 사천과 진주에 우주항공산단이 있어 드론 산단이 완공되면 시너지 효과가 뒤따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산업연구원은 상업용 드론의 현황과 운용규제 완화 정책 보고서에서 “드론은 주로 교통운송 서비스 제공에 집중적으로 쓰이고 있지만, 사회 인프라, 농업, 교통물류, 보안 등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될 수 있다”며 “2016년 현재 드론을 활용한 서비스 시장규모는 1천273억달러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활용 분야별 규모는 사회기반시설 452억달러, 농업 324억달러, 교통·물류 130억달러, 보안 100억달러, 미디어·엔터테인먼트 88억달러, 보험 68억달러, 통신 63억달러, 광업 44억 달러로 각각 추산했다.
드론의 상업적 가치가 커지면서 세계 각지에서는 드론을 더 넓은 영역에서 활용하려는 노력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전 세계 상업용 드론 시장의 70%를 차지하는 중국의 DJI는 지난 6월 스위스, 미국과 손잡고 드론의 상업적 범위를 확장할 기반을 마련했으며 정밀농업 분야에서의 드론 활용을 위해 미국 워싱턴주립대, 캔자스주립대와 공동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업계 2위인 프랑스 패롯은 드론과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과의 적용을 시도하고 있으며 미국 1위인 3D 로보틱스는 드론 소프트웨어 개방을 통해 소비자와의 거리를 좁혀 나가고 있다.
드론의 활성화를 가로막는 규제의 문턱도 낮췄다.미국은 55파운드(24.9㎏) 이하의 드론은 사전 허가 없이 비행할 수 있도록 허용했고, 일본은 공항과 항공로를 제외한 대부분 지역에서 드론이 비행할 수 있게 했다.
보고서는 “우리나라도 지난 7월 제5차 규제개혁장관회의에서 드론 사용사업범위를 확대했지만, 스타트업 기업의 육성을 위해선 상업용 드론의 비행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며 “규제프리존의 법제화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드론은 새로운 기술의 적용을 통해 다양한 경로로 시장과의 접목이 가능해 규제의 중복 적용이나 허점이 발생할 수 있다”며 “사업자와 소비자, 기술자, 규제자, 관련 전문가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 간 협의를 통해 상업용 드론 활성화를 위한 스마트규제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