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주)고성신문사 |
|
|
 |
|
ⓒ (주)고성신문사 |
|
|
 |
|
ⓒ (주)고성신문사 |
| 상리면 부포리 국개마을 주민들이 마을 뒷산에 염소농장이 조성되면서 마을안길 훼손 등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고 반발하며 고성군에 허가를 취소해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지난 27일 국개마을 주민들에 따르면 상리면 부포리 산 65번지 일원 대지면적 2만3천293㎡에 지상 1층 건축면적 2천85.6㎡의 염소농장 15동을 신축하는 공사가 진행되면서 주민들에게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다고 밝혔다.
마을주민들은 염소농장 건립공사를 하면서 새로 포장한지 2개월도 채 되지 않는 마을안길에 중장비가 통행하면서 길이 훼손되고, 먼지 등으로 인해 주민들에게 피해를 줄뿐만 아니라 추후 자연재해나 환경오염 등의 우려가 있다고 반발하고 있다.
주민 전 모 씨는 “대규모의 염소농장이 들어서는데도 그동안 주민들은 아무 것도 모른 채 최근에 공사가 진행되면서 알게 됐다”면서 “마을안길이 협소해 주민들이 사유지까지 제공하면서 많은 예산을 들여 확·포장한 마을안길에 중장비가 오르내리면서 길이 부서지고 갈라지는 등 훼손이 심각한 실정”이라고 하소연했다.
또 “마을안길의 경우 중장비가 전혀 사용할 수 없는 길인데 당초에 진입로가 제대로 확보도 되지 않은 상황에서 군에서 어떻게 허가를 내줬는지 모르겠다”며 군에서 현장 확인과 공사로 인해 발생하는 주민들의 피해는 전혀 고려하지 않은 채 허가를 내줬다고 행정을 비판했다.
이 모 씨는 “이전에도 비가 많이 내리면 산에서 내려오는 물이 넘쳐 하천을 확장했는데 염소농장이 조성되면서 나무를 다 잘라내 향후 비가 많이 오면 마을의 침수피해와 경사까지 심해 산사태의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아름다운 자연경관 때문에 도시에 살다가 최근 이곳으로 이사오게 됐는데 염소농장이 조성되면서 그 꿈은 사라졌다”며 “향후 염소농장이 건립되면 각종 오폐수로 인해 마을의 하천이 오염되고 주변경관까지 훼손돼 더 이상 귀농귀촌을 하는 사람들은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마을주민들은 더군다나 지금 개발되고 있는 것은 전체 면적 중 일부분에 불과해 향후에 확장이 되면 문제는 심각해질 뿐만 아니라 이번 개발로 인해 주변지역도 개발을 하게 되면 국개마을은 더 이상 사람이 생활하기 힘든 마을이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또한 지금이라도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허가를 당장 취소하고 산림을 복구시켜줄 것을 요구하면서 허가를 취소하지 못한다면 진입로부터 다른 곳에 개설해 주민들에게 피해가 절대 없도록 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사업자측은 마을안길이 훼손된 부분에 대해서는 공사가 완료되면 복구를 할 것이며, 주민들이 우려하는 홍수나 산사태, 환경오염 등도 전혀 발생되지 않도록 공사를 추진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사업자 남 모 씨는 “염소농장을 조성하면서 마을주민들이 피해를 입지 않도록 마을과 거리를 두고 염소농장을 건립하고 있다”면서 “염소농장을 건립하는 곳 외에는 나무를 훼손하지 않았기 때문에 추후 홍수나 산사태 등이 발생될 우려는 없다”고 설명했다.
또 “염소는 소나 돼지보다 축산분뇨가 적게 배출되고 악취도 적을 뿐만 아니라 정화조시설도 함께 조성하기 때문에 오염물질이 마을로 흘러내려갈 일도 없다”면서 “지금 건립하고 있는 농장 인근에는 확장을 하려고 해도 허가가 나지 않기 때문에 주민들이 우려하는 확장문제도 없을 것”이라고 해명했다.
남 씨는 “공사차량이 작업을 위해 아침에 한 번 저녁에 한 번 오르내리는 것 외에는 진출입이 잦지도 않다”면서 “그런데 주민들은 차량이 이동 시에 먼지가 발생된다며 물을 뿌려줄 것을 요구해 기름차가 공사장으로 오를 때도 물을 뿌렸다”고 하소연했다.
그는 “염소농장을 건립하면서 인근 주민들과의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해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면서 “무조건적인 반대보다는 서로 상생할 수 있는 길을 찾는 것이 우선 시 되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군 관계자는 “1만5천㎡이하 면적의 농업용 시설은 조건만 맞으면 허가를 내줄 수밖에 없다”면서 “마을안길을 공사장 진입로로 사용하는 것도 지도상에 길로 되어있기 때문에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개발허가를 내주는 데는 문제가 없었다”고 설명했다.
또 “파손된 도로는 복구비용을 예치해 공사가 완료되면 복구를 하도록 되어 있다”면서 “주민들이 반발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사업자와 주민, 행정에서 협의를 통해 원만하게 해결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