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주)고성신문사 |
|
|
 |
|
고성포럼이 신성장동력 발굴을 위한 군민포럼을 개최했다. |
ⓒ (주)고성신문사 |
| 구 농업기술센터 부지를 활용해 고성 문화예술회관을 건립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고성포럼(회장 정호용)은 지난 22일, 고성문화원 강당에서 ‘신성장동력 발굴 및 육성을 위한 군민 포럼’을 개최했다. ‘삶의 질 향상과 문화예술 발전 그리고 예총의 역할’이라는 주제로 진행된 이번 포럼은 한국예총 고성지회 정영도 지회장이 발제자, 한국연예총 고성지회 심영민 지회장, 한국문협고성지부 백순금 전 회장, 고성녹색환경연구소 박일훈 전 소장, 정길수 고성포럼 간사가 패널로 참여하고, 전 KBS해설위원이자 고성포럼의 고문을 맡고 있는 이상갑 고문이 총평을 맡아 정호용 고성포럼 대표의 사회로 진행됐다.
정영도 지회장은 발제문을 통해 “예술문화는 많은 사회, 경제적 가치를 가지는 필수재”라고 말하고 “별다른 관광정책이 없었던 여수시가 버스커버스커의 ‘여수밤바다’ 노래 한 곡으로 관광인프라를 구축하게 되면서 문화콘텐츠가 있는 도시의 성공사례로 불리며, 이는 결국 예술회관 등 시설이 뒷받침됐기 때문에 가능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백순금 전 문인협회장은 “학생백일장, 문학강좌, 시화전, 시낭송회 등을 정기적으로 개최하고 있는데 행사 개최 시마다 수십명에서 수백명이 모일 만한 공간을 찾아 이리 저리 뛰면서 정작 행사는 마음대로 준비되지 않는다”며 고성의 문화예술을 향유할 수 있는 기회 마련을 위한 문화예술회관의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박일훈 전 녹색환경연구소장은 “지역문화를 지키는 것은 지역의 수준을 향상시키는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밀집된 공간이 절실하다”면서 “지역문화보존을 위해 공존공략과 상생의 길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정길수 간사는 “고성군의 독창적 문화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며 이를 위해서는 예산 수반은 물론 문화예술회관 등의 건립이 필요하다”고 말하고, “군이 발표한대로 2019년 예술회관 준공이 가능한지 궁금하다”면서 “고성오광대교육관 부지는 접근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구 농업기술센터 부지를 활용해 예술회관을 건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이상갑 고문은 총평에서 “고성군의 문화예술 발전에 있어 가장 큰 문제는 공간이 없다는 것”이라며, “지금은 공간이 아닌 콘텐츠를 고민해야 할 때이며, 새로운 시대의 인재는 문화예술인이라는 인식이 커지는 지금 고성문화예술의 청사진이 제시돼야 하는 시기”라고 지적했다.
이 고문은 “고성예총이 아직 역사가 짧기 때문에 관련단체에서 할 수 있는 일을 제시해야 하며, 이러한 뜻을 모으기 위해서는 문화예술을 위한 공간 마련이 시급한 문제”라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