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X조선해양이 결국 법원 주도의 법정관리 수순을 밟게 됐다.
채권단의 자금 수혈로 연명하던 STX조선해양이 25일 채권단 회의에서 법정관리를 받는 쪽 로 가닥이 잡히면서 고성조선해양 등 계열사들의 도미노 현상마저 우려되고 있다. STX조선해양은 우선 수주잔량의 정상 건조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법정관리로 전환해 법원이 기업 청산가치가 존속가치보다 크다고 판단하면 절차를 거쳐 청산 절차를 밟을 수도 있다.
만약 법원이 청산 절차를 진행할 경우 수천 명에 달하는 근로자가 일자리를 잃게 된다.
현재 경남 창원시 진해구 STX조선해양 야드에는 직영 2천100명과 협력사 3천500여 명을 합쳐 5천600여 명이 근무하고 있다. 또 2011년 3월 설립된 STX조선 계열사인 경남 고성군 고성조선해양에는 직영 301명을 포함해 2천470명이 근무한다. 직영과 사내외주 8천여 명에 연관 산업까지 합치면 1만 명 이상이 실업 위기에 내몰린 것이다.
회사 채권 채무를 동결하는 법정 관리에 들어가면 경영이 연쇄적으로 악화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STX조선해양의 계열사인 고성조선해양은 법정관리 여파가 미치지 않도록 하겠다는 입장이다.
고성조선해양 관계자는 “STX조선이 법정관리에 들어가는 것과는 관계없이 일단 정상적으로 선박 건조작업을 진행할 것이며 내년 하반기까지는 작업물량이 남아 있다”고 말했다.
주 채권은행인 산업은행과 금융당국은 협력업체의 피해를 최소화하기로 했다. 산업은행은 협력업체의 상황에 따라 맞춤형 금융 지원을 시행한다. STX조선해양에 대한 매출 의존도가 높아 정상 영업이 어려운 기업은 가능한 한 워크아웃을 통한 구조조정으로 연쇄 도산을 최소화할 방침이다.
STX조선해양 관계자는 “법정관리에 들어가더라도 남은 선박(55척) 건조를 마무리 지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며 “노조를 포함해 전 직원이 회사를 살리는 데 온 힘을 쏟자고 결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번 STX조선해양이 법정관리를 시작함에 따라 경쟁력 없는 조선사도 퇴출 수순을 밟을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지난 4월 정부가 조선업의 신규 수주가 없으면 기업회생 절차를 진행하겠다는 입장을 내놓은 만큼 이번 사태는 업계 전반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