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영시 주민들의 반대로 인해 답보상태에 머물러 있던 고성군과 통영시의 소각시설 광역화추진 사업이 올해 기본계획용역을 실시하는 등 사업추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고성군과 통영시는 2014년부터 소각시설 광역화사업을 두고 여러 차례 협의를 통해 사업대상지를 통영시 명정동 현 매립장 내에 시설을 증설해 운영하는 방안으로 기본방향을 잡아왔다.
하지만 통영 주민들과 의회에서도 통영시에 기피시설이 들어오는 것에 반대하고 나선 가운데 지난해까지 협의점을 찾지 못해 사업이 답보상태에 머물렀다.
지난해 말 통영시에서 주민들에게 소각시설 광역화사업에 대한 홍보와 시설견학 등을 통해 주민들의 동의를 얻으면서 올해 입지후보지 타당성조사와 기본계획 용역을 실시하게 됐다.
내달 통영시에서 열리는 고성통영 소각시설 광역화추진 사업 공청회를 통해 주민의견을 수렴할 예정으로 주민들의 찬성의견이 많을 경우 사업추진에 가속도가 붙을 것으로 전망된다.
군 관계자는 “지난해 통영시와 지속적으로 협의를 실시하면서 올해 입지후보지 타당성조사와 기본계획 용역을 실시했다”면서 “내달 중 통영시에서 주민공청회를 실시해 주민의견을 수렴하고 그 결과를 통영시 의회에 보고해 의회 승인을 받으면 향후 사업들을 계획대로 추진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또한 “통영시는 생활폐기물 소각시설의 내구연한이 2018년으로 되어 있어 대체시설을 확보해야 하기 때문에 사업은 진행이 될 것으로 보인다”면서 “고성·통영 소각시설 광역화에 따른 당위성과 시민들의 공감을 얻고자 사업의 취지 설명회를 지속적으로 실시해왔기 때문에 공청회에서도 좋은 결과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한편 고성·통영 소각시설 광역화사업은 약 453억 원(국비 50%, 지방비 50%)이 소요될 예정으로 쓰레기 발생량에 따른 고성군의 분담금은 38억 원 가량이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고성·통영소각시설은 1일 120톤을 소각할 수 있는 시설과 1일 50톤의 음식물을 건조할 수 있는 음식건조시설, 1일 25톤이 처리 가능한 하수슬러지 건조시설 등을 2020년까지 조성할 예정이다. |